KU 미디어 교내 건대신문,학원방송국,영자신문에서 발행하는 다양한 콘텐츠를 열람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본 게시판에 올라오는 모든 게시글에 대해 무단 복제 및 전제를 금합니다. 전체 건대신문 672 KU ABS 55 KU 영자신문 102 KU ABS [건국史 ②] 2016.10.10 19:10 ABS 조회 수 : 1943 추천 수 : 0 댓글 수 : 4 건국史 두 번째 이야기는 상허기념박물관 건물이기도한 서북학회 회관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일제강점기 시기, 애국계몽운동의 중심지었던 유서 깊은 건물, 서북학회 회관! 이 건물에 숨어있는 역사적, 건축적 요소를 살펴보러 함께 떠나시죠 :) 첨부 1 스크린샷 2016-10-10 오후 7.09.13.png 413.6KB 추천 비추천 목록 신고 댓글4 쏘여 17.03.02 12:16 신고 감사합니다 건국건국건국 17.08.21 17:05 신고 잘봤습니다 스톰쉐도우 17.08.22 12:09 신고 이런 역사가 카톡카톡카 17.08.28 13:36 신고 ㄳㅇ 전체 건대신문 672 KU ABS 55 KU 영자신문 102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건대신문 [칼럼] 떠난 이는 말이 없고, 진실은 중요치 않은 세상 [일감호] 떠난 이는 말이 없고, 진실은 중요치 않은 세상 '미인도' 위작 논란이 다시금 불거졌다. 고(故) 천경자 화백은 미인도를 두고 지난 1991년에 "내가 그린 게 아니다"라고 밝혔지만, 국립현대미술관은 "천 화백의 그림이 맞다"고 판정했다. 잊혀진 25년 전 스캔들이 다시 수면위로 떠오르게 된 것은, 지난해 10월 "천 화백이 두 달 전 타계했다"는 소식이 국내에 알려지면서 부터다. 이후, 천 화백의 차녀 김정희씨와 그의 남편 문범강씨가 기자회견을 통해 공식적으로 미인도 위작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며 논란은 본격화됐다. 또한, 김씨는 미인도를 어머니의 작품으로 규정한 국립 현대미술관 바르토메우 마리 관장을 비롯한 6명을 사자(死者)명예훼손, 저작권법 위반, 허위공문서 작성 및 행사 혐의로 고소했다. 현재 미인도는 검찰의 초청으로 국내에 들어온 프랑스 연구 팀 '뤼미에르 테크놀로지'의 감정을 받고 있다. 어쩌면 황당하기 그지없는 미인도 논란으로 말머리를 연 이유는, 10기압 이상의 물대포를 정면으로 맞고 317일 만에 숨진 백남기 농민의 '사인 공방'과 너무나도 닮아있기 때문이다. 사실, 미인도 위작에 대한 가장 명백한 검증은 이미 천 화백의 입으로부터 나왔다. 작가가 작품을 두고 "내 것이 아니다"라고 증언한 사실보다 더욱 명확한 증거가 있을까? 하지만, 당시 언론과 미술계는 천 화백을 '자기 그림도 몰라보는 작가'라고 조심스레, 그러나 정확하게 비난했다. 미인도의 작가가 천 화백이 아니라면, 돈으로 환산되는 작품의 가치는 심각한 타격을 입게 되고, 입장이 난처해지는 사람들이 발생한다. 그들에겐 어쩌면 '명확한 증거'보다 '믿고 싶은 증거'가 필요할지 모른다. 믿고 싶은 증거가 필요한 사람들 백 농민의 사인을 두고 미인도 위작과 같은 불필요한 공방이 이어지고 있다. 미인도가 천 화백의 품이 아니면 입장이 곤란해지는 '돈 많은' 그들처럼, 백 농민이 지병으로 사망한 것이 아니라면 입장이 곤란해지는 '힘 있는' 이들이 끌고 온 논란이다. 민중은 올바른 진실을 요구하지만, 진실을 보도해야 하는 언론은 대다수가 침묵하고 있거나, 동조하고 있다. <뉴데일리>에 기재된 살천스런 칼럼 '지긋지긋한 시체팔이'(지금은 '사망유희'로 제목이 바뀌었다)와 같은 논조의 얘기를 심심치 않게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백 농민이 시위 중에 물대포를 정면으로 맞고, 구급차에 실리는 생생한 영상을 우리가 모두 봤다. 응급실에 실려 간 직후 찍은 뇌 CT사진엔, 뇌안에 급성 출혈과 외부에서 들어온 공기가 관찰됐음에도 서울대병원은 사망원인을 '병사'로 기록했다. 검찰은 한 번 기각된 '부검 영장'을 다시금 청구했고, 법원은 검찰의 의견을 받아들여 조건부로 영장을 발부했다. 영상과 CT 사진 등 명백한 증거에도 몇몇 사람들은 '병사 기록', '불필요한 부검' 등 믿고 싶은 증거를 생산해 내고 있다. 반면, 병사기록을 한 서울대학 병원과 달리 서울대학교 의대 학생들은 "배운 것과 다르다"며 해명을 요구하고 있다. 또한, 명확한 증거들 앞에서도 부검을 진행하려는 국가권력에 민중들은 많은 질타를 보내고 있다. 백 농민의 사인은 이미 모두가 판단할 수 있을 만큼 명확한 증거들이 존재한다. 검증해야할 것은 이미 밝혀진 백 농민의 사인이 아닌, 경찰의 폭력진압의 과정이다. 시커먼 속내로 생산되는 다른 증거들 앞에서, 우리는 무엇을 믿고, 무엇으로 판단할 것인가? 진실이 중요하지 않은 세상에서 외치는 당신의 목소리가 세상을 떠난 이에게 닿기를 바라본다. 정두용 부국장 정두용 기자 jdy2230@konkuk.ac.kr <저작권자 © 건대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건대신문 [사설] 한 시민의 죽음을 애도하며 한 시민의 죽음을 애도하며 백남기(69) 농민이 결국 지난 9월 25일 서울대학교 병원에서 별세했다. 병원으로 이송됐던 1차 민중총궐기 이후 317일 만에 그는 떠나고 말았다. 고인의 안타까운 최후에 전국에 애도의 물결이 퍼지고 있다. 본지 역시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빈다. 고인의 이름을 들어 운을 떼는 것은 일면 그의 죽음을 수단으로 이용하는 것 같아 일말의 죄책감이 들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언론으로서, 아니 시민사회의 일원으로서 하지 않을 수 없는 말이 있다. 시민의 정치적 표현의 자유와 헌법적 가치에 대한 공권력의 경시 그리고 폭압적 태도에 시민으로 서 분노를 아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경찰은 “백씨의 부상과 물대포 살수 사이에 인과관계가 불명확하다”며, ‘미필적 고의에 의한 살인’이라는 혐의는 물론 ‘과잉 진압’이라는 지적조차 여전히 인정하지 않고 있다. 백씨가 고인이 된 그날부터 경찰은 정확한 사망원인을 밝혀내야 한다며 끊임없이 부검을 요구했고, 결국 부검영장을 받아내고야 말았다. 유가족들과 그들을 지지하는 수많은 시민들의 반대와 비판에도 불구하고 말이다. 엄청난 수압의 물대포가 칠순을 바라보는 노인의 안면에 직사로 꽂히는 장면은 이미 317일 전, 전 국민이 똑똑히 보았다. 고인의 죽음에 대한 책임을 어떻게든 덜어내고자 억지를 부리고 있다고밖에 설명할 수 없는 모습이다. 검경의 진술과 태도에 상관없이, 이미 이 사건의 핵심은 명확하다. 시민사회의 안전을 수호해야 하는 치안당국의 손에 시민이 쓰러졌고, 병원으로 이송됐다. 백번 양보해서 경찰의 말마따나 백씨의 사망원인이 외적인 충격이 아니라 질병 때문이라 하더라도 그 사실은 변하지 않는다. 시위를 통해 정치적 의견을 표현하고, 이러한 자유를 인정하는 것은 ‘자유롭고 정의로운’ 근대국가, 시민사회가 성립하는 최소한의 요건이다. 모든 인간은 자신의 삶의 여건을 자신이 원하는 방향으로 만들어갈 권리가 있다는 말은 너무나도 당연한 언명이다. 누군가의 기억 속에서 마치 공기의 필요성처럼 잊힐 만큼 말이다. 위에서 지적한 단 하나의 핵심적 사실만으로도, 시민들이 분노를 표출해야하는 정당한 이유는 충분하다. 이에 한양대와 숙명여대, 고려대, 중앙대, 동덕여대, 한국외대, 성균관대 등 10여 개 대학의 캠퍼스에 이미 고인을 위한 분향소가 설치된 상황이다. 우리대학도 일부 학우들이 뜻을 모아 학생회관에 분향소를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그 대부분이 학생회가 아닌 몇몇 학생들이 개별적으로 준비해 설치한 것들이라는 점은 아쉽다. 어느 시점부터 대학생들 사이에서는 정치적 표현, 그 권리에 대한 옹호를 지양해야 하는 것, 자제해야 하는 것으로 여기는 풍조가 자리 잡기 시작했다. 이러한 행위가 그저 당파적 논리에 휘말리는 것일 뿐 아무런 의미가 없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미디어 속의 소모적인 논쟁들은 이들의 생각에 확신을 심어주고 있다. 하지만 시민의 기본적 자유와 권리를 위한 표현과 행동은 당파성 그 이전의 문제라는 점을 강조하고 싶다. 고인의 죽음이 제 2의 ‘세월호 논쟁’으로 남지 않기를 바란다. 건대신문사 kkpress@hanmail.net <저작권자 © 건대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건대신문 [보도] 학관에 설치된 고(故) 백남기 농민 분향소, 60여 건의 추모메시지 학관에 설치된 고(故) 백남기 농민 분향소, 60여 건의 추모메시지 고(故) 백남기 농민의 추모분향소가 제1 학생회관에서 지난 10월 4일에 설치돼 4일간 운영됐다. 분향소에는 60여 건의 추모메시지가 적히고, 국화가 놓이는 등 학우들의 추도가 이어졌다. 하지만 개중엔 "선진국이었으면 물대포가 아닌 실탄이었을 것"이라는 다소 비상식적 문구도 있었다. 제1 학생회관 1층에 설치됐던 백남기 농민의 추모분향소 (사진제공ㆍ신영빈) 이에 대해 분향소를 설치한 황진서(정치대ㆍ행정2) 학우와 신영빈(공대ㆍ우주정보시스템공학2) 학우는 "이해하기 힘든 문구를 붙인 학우분도 있지만, 두 건뿐이었다"며 "대다수가 추모의 메시지였기 때문에, 이 부분에 대해선 크게 신경쓰지 않았다"고 말했다. 분향소를 설치한 이유에 대해선 “다른 대학에도 많이 설치된 분향소가 우리 대학에 없는 게 아쉬웠다”면서 “부당한 국가폭력에 대해 알리고, 학우들이 백남기 농민을 추모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고 싶었다”라고 전했다. 이어 황 학우는 “다만 이 분향소가 총학생회의 주도로 설치된 것이 아닌 점은 아쉽다”며 “비록 두 명뿐이지만, 이 문제에 총학생회는 침묵하고 있어 더욱 분향소 설치에 의무감이 들었다”고 말했다. 또한, 신 학우는 “백 농민이 민중총궐기에 나설 수밖에 없었던 이유와 그의 죽음에 대해 많은 학우들이 관심을 가져달라”고 부탁했다. 박우주(경영대ㆍ기술경영4) 총학생회장은 “개인적으론 분향소에 찾아가 추모에 참여하기도 했지만, 총학생회는 정치적 중립을 지켜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분향소 설치에 총학이 참여하지 않은 이유를 설명했다. 이어 그는 “지난 총학이 국정교과서 반대운동에 참여했을 때, 생각이 달랐던 학우들의 질타를 받았다”며 “이처럼 백 농민의 문제 역시 양측의 입장이 첨예하게 대립하는 정치적 문제이고, 아직 완벽하게 드러난 부분이 없는 상황에서 총학생회가 어떤 행동을 하기엔 무리가 있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황 학우는 “학생자치권 역시 사회의 민주화에 일환으로 실현된 부분이다”며 “때문에 정치적 문제에 침묵하는 총학은 무책임하다”고 비판했다. 신 학우 역시 “학우들의 대표성을 띄는 총학이 정치적 문제를 피하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평가했다. 한편, 백 농민은 지난 2015년 11월에 열린 민중총궐기 집회에서 경찰의 물대포를 맞고 서울대학교병원으로 이송돼 317일 만인 9월 25일에 숨졌다. 이송 직후 촬영된 뇌 CT 사진엔, 급성뇌출혈과 외부에서 들어온 공기가 관찰됐다. 하지만 서울대병원은 “백씨는 투병 중 급성 신부전증 발생으로 사망했다”며 사인을 병사로 기록했다. 또한, 검찰은 백 농민의 부검을 법원에 요청했고, 법원은 이례적으로 조건부 부검 영장을 발부했다. 이에 대중들은 서울대학병원 앞에서 백 농민의 시신을 지키는 농성을 벌이는 등 갈등이 고조되고 있다. 추모분향소를 설치한 황진서 학우(왼쪽)와 신영빈 학우(오른쪽)_<사진ㆍ정두용 기자> [정리] “잊지 않겠습니다” 분향소에 붙여진 60여 건의 메시지 다음은 4일간 설치된 분향소에 기록된 메시지 중 일부다. 추모의 메시지 “마지막 순간까지 농민의 권리를 위해 싸우셨던 백남기 농민님, 국가폭력도 농업문제도 없는 곳에서 편히 쉬세요.”-황진서 학우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금오중학교 김승욱 “비극이 너무나 만연한 시대입니다. 부디 그곳에서는 안녕하시길 바랍니다.” “잊지 않겠습니다, 죄송합니다.” “진실은 꼭 밝혀질 것입니다. 부디 편히 쉬시길...” “진실은 가라앉지 않습니다,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잊지 않을 것입니다!! 국민을 위해 힘써주시고 나서주셔서 감사합니다. 부디..편히 쉬세요.” 국가폭력비판, 진실규명 등의 메시지 “다들 슬프면 슬퍼하고 화나면 화를 냈으면 좋겠다. 모르고 잊는 것보다는, 알고 생각하고 세상에 가까워지는 편이 낫다. 백남기 농민을 추모한다. 국가폭력 조사해서 책임자 엄벌하자.”-신영빈 학우 “나라가 국민을 죽였다.” “국가가 죽였다. 우리가 보았다. 책임자 처벌하라.” “죽여 놓고 또다시 죽이는 부검...안했으면 좋겠습니다.” “국가가 국민을 외면하지 않는 시대가 속히 오길” “진정으로 깨어있고 행동하는 지성인 백남기 선생님 고이 잠드소서...역사의 심판을 저들은 반드시 받을 것입니다.” “살릴 사람들은 살리지 못해 바다를 떠도는데, 죽지 말아야 할 사람은 국가가 나서서 죽였다. 국가가 죽였다. 살인 정권에게 화 있을 진저” “백남기 농민이 꿈꾸던 민주주의 사회, 대학생들이 박근혜 정권을 퇴진시키고 이루어내겠습니다” “자유민주주의 사회에서 표현의 자유는 우선시되어야 하는 가치 중 하나임에 불구하고 집회ㆍ시위는 정부의 입장과 다른 주장을 하면 불법ㆍ폭력 시위로 매도되고 과잉 제재가 가해짐에 따라 일어난 비극에 애도를 표합니다.” “국가의 위법한 행위로 인해 국민이 상해를 입고 그 상태로 인해 사망하였습니다. 정상적인 국가라면 국가의 위법행위로 인해 사망에 이른 국민에 대해여 손해배상이 진행되어야 마땅하나, 이 정부는 손해배상은커녕 단 한마디의 사과마저도 거부하는 것도 모자라 고인의 사인을 엉뚱한 것으로 주장하며, 사인을 왜곡함과 동시에 자신들의 책임을 다른 이에게 전가하려고 하고 있습니다. 국가의 역할 중 가장 기본적이고 필수적인 역할은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것입니다. 그러나 현 정부는 세월호ㆍ메르스 사태를 거치며 국가의 기본적인 책무조차 다 하지 못하는 무능한 정권임을 보여주었습니다. 그런 정부가 이제는 한 사람의 국민을 죽음에 이르게 하고는 오히려 적반하장입니다. 제가 살고 있는 나라가 이렇게 무능하고 무책임하며 뻔뻔한 나라라는 것이 매우 안타깝습니다.”-한관희 학우 참여와 반성의 메시지 “절대 잊지 않겠습니다. 그리고, 이런 전철이 없는 세상을 만들고 ‘정의’라는 단어가 의미 있는 단어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하면서 살아가겠습니다.” “이 사회 시스템은 크게 잘못되었습니다. 시작부터 잘못되었습니다. 저희가 고쳐나가겠습니다.” “대한민국에서 깨어있는 사람으로서 하신 일, 저희 세대에서 꽃 피우도록 노력하겠습니다.” “함께 하지 못해 죄송합니다. 죄송하다는 말 밖에 못하는 것 또한 죄송합니다. 더 이상 죄송한 일이 없었으면 좋겠습니다. 저희가 하겠습니다.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상식이, 진실이 통하는 사회가 오도록 노력하겠습니다. 헛된 죽음이 아니었도록.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더 이상 공권력에 의한 허무한 죽음이 생기지 않게 저희를 보호해 주세요. 진상규명! 책임자 처벌!” “국가와 경찰이 잘못을 인정할 때까지 끝까지 싸우겠습니다.” “저희가 죄송합니다.” “내 삶에 지쳐 당신의 억울함을 풀기 위한 행동을 하지 못하는 내가 너무 죄스럽습니다. 나를 용서하세요.” 다른 메시지 “선진국이었으면 물대포가 아닌 실탄이었을 것이다” "농민이 아니라 전문 시위꾼이다" 정두용 기자 jdy2230@konkuk.ac.kr <저작권자 © 건대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건대신문 [보도] 교원인사규정, 산학협력활동 강조 등 상당부분 개정 교원인사규정, 산학협력활동 강조 등 상당부분 개정 교원인사에 관한 규정이 올해 9월 1일부로 대폭 개편됐다. 개정된 사안은 주로 교원 승진 기준에 관한 내용으로 △근무성적평정 제도 구체화 △산학협력 실적 인정 기준 신설 △산학협력전임교원 제도 신설 △교육전임교원 임용평가 다각화 △평가 기준 명확화 등 다양한 부분에서 규정 내용이 신설ㆍ변경됐다. 교수업적평가, 근무성적평정 및 산학협력 실적 등의 신설로 승진 기준 강화돼 교원의 승진 및 승급을 결정하는 규정인 교수업적평가는 이번 규정 개정에서 가장 크게 변화한 부분이다. 교수업적평가는 성격상 교원의 활동에 직ㆍ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는 사항으로, 이번 개정으로 학내 강의ㆍ연구 등 많은 부분에서 변화가 예상된다. 주요 변경점은 △근무성적평정 제도 구체화 △산학협력 실적 인정기준 신설 △연구업적 평가 시기 및 기준 점수 변경 등이다. 근무성적평정 제도는 교원의 근무 수행 태도를 평가하는 기준으로, 근무성적평정 기준표에 따라 평가되며, 교원의 재임용, 승진 등에 반영된다. 여기서 근무성적평정 기준표의 평가기준과 방식이 대폭 변경됐다. 기존 기준표에는 6개의 감점기준만 있었으며 관련 세부사항은 총장이 따로 정하는 방식이었다. 하지만 개정된 기준표에선 ‘근무성적평정위원회’(근평위)를 구성해 5명의 위원이 더욱 명확한 기준으로 교원을 평가한다. 평가방법과 항목도 변경됐다. 근평위원의 평가에 따라 항목별로 점수를 1점에서 5점까지 부여하는 방식으로, 항목은 △학생지도 및 소통 노력 △동료 교직원과의 협업 노력 △학과 발전을 위한 기여도 △학교 발전을 위한 기여도 △복무규정 준수와 근무태도의 5개의 분야로 구체화됐다. 교원은 이 평가에서 3.0점 이상의 평점을 받아야만 합격할 수 있다. 기준 점수에 미치지 못하거나 관련 서류를 제출하지 않은 교원의 처우는 교원인사위원회에서 결정하도록 명시했다. 기존의 방식은 근태내역에 초점을 맞춘 기준이었지만, 현 기준은 교원의 활동을 통한 대학 발전 기여에 중점을 두고있다. 산학협력 실적을 인정하는 기준도 신설됐다. 기존 교원의 교육 및 봉사 업적 평가엔 산학협력 활동을 실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기준이 비교적 부족했다. 산학협력 관련 기준은 교육점수 부분에서 ‘취업상담 건당 5점’만을 규정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번 개정으로 산학협력업적 인정 기준이 확대됐다. 교육영역에 △지도학생 취업 1명당 10점 △취업ㆍ창업 지원 강의 개발 20점 △창업지도 1건당 10점 등 ‘산학연 협동활동’ 항목이 추가되어, 점수로 인정받을 수 있다. 강의평가로 교원에게 부여되는 점수의 폭도 확대 적용 됐다. 기존 기준은 학생들의 강의평가 평균 점수가 낮더라도 교원이 교육점수를 획득할 수 있는 방식이었다. 강의평가 점수에 따라 구분되는 등급(A~E)에 따라, 최대 20점에서 최소 8점이 부여됐기 때문이다. 하지만 규정이 변경되며 강의평가 등급이 낮으면, 교육점수 감점이 가능해졌다. 변경된 기준에 따르면 △A등급 25점 △B등급 17점 △C등급 10점 △D등급 -10점 △E등급 -17점이다. 연구영역의 변경사항은 임용 시기(2011년 9월 1일 전ㆍ후)에 따라 기준이 다르다. 두 기준 모두 승진 및 승급을 위한 근속연수와 기준점수를 일부 변경했다. 또한, 연구영역에서 기준을 초과한 점수를 교육 및 봉사영역 점수로 인정받을 수 있었던 방침이 이번 개정으로 삭제됐다. 교수업적평가 분야인 △연구영역 △교육 및 봉사영역 △근무성적영역 모두 크고 작은 사항이 변경됐다. 교육 및 봉사영역의 업적평가 기준은 전반적으로 강화됐고, 근무성적평가는 기준이 구체적으로 변경된 모습이다. 전임교원 제도에서도 산합협력활동 강조돼 전임교원에 관한 규정도 일부 변경됐다. 산학협력활동을 전담하는 산학협력전임교원 제도가 신설되고, 교육전임교원의 평가 기준이 변경됐다. 전임교원은 연구사업, 산학협력교육, 기술사업화 및 이전 등 연구와 산학협력활동에 전담하는 교원이다. 기존 전임교원 영역인 △외국인 △연구 △HK 교수 △KU 연구 △총장 석학교수 △교육에 산학협력분야가 추가됐다. 또한, 교육전임교원에 대한 임용평가 기준을 연구, 강의평가, 근무평정 등으로 다각화했다. 교육전임교원의 책임학점 역시 기준을 명확히 하고 연봉제 보수지급 방식의 근거를 규정에서 명시하는 방향으로 수정했다. 이번 교원인사와 관련된 규정의 개정은 3편 2장 인사행정 중 △교원인사규정 △교수업적평가규정 △교수업적평가시행내규 △교육전임교원규정 부분에서 약 90여건의 항목이 변경ㆍ신설됐다. 이번 개정으로 변경된 규정의 전문은 우리대학 규정정보센터(http://rule.konkuk.ac.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정두용 기자 jdy2230@konkuk.ac.kr <저작권자 © 건대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건대신문 [보도] 논술고사로 인한 상허기념도서관 휴관에 학우들 불만 제기 논술고사로 인한 상허기념도서관 휴관에 학우들 불만 제기 우리대학 2017학년도 수시모집 논술고사 시행으로 지난 9월 30일 15시부터 10월 1일 15시까지 상허기념도서관 열람실 이용이 일시중지됐다. 더불어 상허기념도서관 자료실을 고사운영본부로 사용함에 따라 10월 1일 하루 동안 자료실이 휴관됐다. 페이스 북 <건국대학교 대나무숲>페이지에 수시 논술고사로 인한 도서관 폐쇄 불만이 제기됐다. 이에 도서관을 이용하는 학우들의 불만제기가 잇따랐다. 지난 9월 26일 ‘건국대학교 대나무숲’ 페이지에 한 학우가 “토요일이라 빈 강의실도 많은데, 왜 굳이 도서관에서 논술고사를 하는지 납득이 안된다”며 불만을 제기했다. 또한 우리 대학 인터넷 커뮤니티 쿵(KUNG)에도 “재학생은 안중에도 없는 걸로 느껴진다”라는 내용의 게시물이 인기게시물 1위를 차지하기도 했다. 이번 2017학년도 수시모집 KU논술우수자전형에는 총 17,383명이 지원했다. 입학처는 “지원자가 많아 상허기념도서관은 물론 다른 단과대 건물 등도 사용해야 하는 실정”이며 “논술고사 지원자가 많을 경우엔 건대부속중학교와 건대부속고등학교 건물까지 공간을 빌리기도 한다”고 전했다. 실제로 지난 1일과 2일 이틀간 시행된 논술고사는 인문학관, 공학관, 예술문화관, 동물생명과학관 등 총 11개 건물에서 치러졌다. 그러나, 올해보다 약 3,000명가량 지원자가 더 많았던 지난 해 논술고사는 상허기념도서관에서 진행되지 않았던 것이 확인됐다. 이에 입학처는 “작년도에 건대부중과 건대부고에서 논술고사를 진행했더니 고사장을 못 찾겠다는 수험생들의 민원이 많아서 부득이 교내 공간을 이용하기로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김현명 기자 wisemew@konkuk.ac.kr <저작권자 © 건대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U 영자신문 [Think & Talk] Shall We Go Out? Do you know about blind date applications? Maybe you have seen their advertisements at least once. It has become one of the places where people meet and start their love. Applications introduce you to new people and then you choose the person you want to meet among them. When someone asks you to meet and you are not satisfied with them, they can also reject the suggestion. If man and woman are both satisfied to each other, they can open a chat room. Then, they can share their real phone number for more contact. Do you think you can meet your real partner this way? There are some couples who met there and eventually get married. However, there are some people who use it as a tool of crime. What do you think about people trying to find their love through blind date applications? Is it good or bad? We have collected the opinions of Konkuk University students. Let us hear their opinions together. Good Choi Min-ki / Junior / Division of Interdisciplinary Studies I agree with using the blind date application. Nowadays people are so busy studying and working. But if they use this application, they could save time to find partners and it would be convenient. Especially in case of free application, people can make relationship for free. I know that meeting using application can be dangerous. However, people using this application exchange their personal information among themselves. And by this reason, I think that they are already aware of dangers. Also, when introvert people utilize this application, they can break barriers and meet others by overcoming shyness. Moreover, I saw my acquaintance who met her boyfriend using a blind date application. Although there is possibility of failure, it is able people to have serious relationships. Park Yu-jin, / Senior / English Language & Literature I agree that blind date application can make mate. I have heard about the application and I saw many people using them. In case of Amanda application, detailed identity needs to be certified. So, it has good reputation and people use this with trust. Although there are strange and bad applications, if people use good application and recognize carefully, people will get a fine mate. People can filter application that has bad intention. To users, it should be necessary choice. Blind date that relates acquaintances has restriction. However, blind date application has less restriction and it depends on the user’s mind whether they will go on a blind date or not. With application, people can look for their mate without acquaintances. Moreover, I can see couples around me developing into serious relationships after using blind date application and often, they have better results. Jeon Seong-il/ Freshman / Systems Biotechnology Major I think blind date application is appropriate to meet one’s love. It is not a bad way if you don’t have a matchmaker around and if you really believe you could fall in true love. When timid person demands blind date, he or she hesitates. On the other hand, without worrying, a person can go on a blind date through application. Also, through the application, a person can meet another person that fits their qualification. Among many people, they can meet their ideal type. Moreover, using an application can meet various people without limitation. Therefore, people will have high and rapid possibility to meet their mate. Lastly, most application makers make blind date application. So if users use application with right purpose, one’s love will approach. Bad Jeong Youn-bi / Senior / Department of Biological Engineering I have not used the application of blind date, but I think that it is dangerous to use. Since people can deceive other people by uploading false information, data provided by this application is unreliable. And users don’t know about the people who they are going to meet. Consequently, there is high probability for crime. And the relationship made by the application cannot be serious. Users don’t contemplate about their partner to love and meet anyone. Thus, it is an irrational method to make relationships. Of course, there are many people feeling difficulty to build human relations. However, using the application to overcome their problem is not a fundamental measure. In addition, it is a kind of making relations because they meet new people on a blind date. Therefore, I think that they should seek for more fundamental measures so it cannot be a reason to use the application of blind date. Kim Sung-bin/Material Science Engineering/Senior I heard about the blind date application, and even my acquaintance used it many times. According to his story, he met a woman from that application and before long, they got close to each other. Their relation, however, didn’t last long because of their characters were so different. They even went to the police station because of their dispute. All other cases’ results are similar to this. In a roundabout way, I have an experience of blind date application and I know the side effect of it. The application is optimized to modern men who wants casual meeting. They can use it for their enjoyment in a moment. Therefore, people like me who want to meet partners seriously should avoid these applications. I think this application should be accessed carefully considering to the purpose of the user. I am against to use this application, of course. Ryou Song-hee/Industrial Design/Senior I have never used a blind date application, and I am sure that I will not use it in the future also. The reason that I think blind date application is inappropriate is because it would be hard to develop the relationship into a deeper concept since it is the first time meeting with total strangers. Also, leakage of personal information could occur due to the characteristic of the application. By showing our information on the application, anyone could have access and it could lead to serious effects. Moreover, there are chances for people to use the application for bad reasons. Lastly, people can judge others’ appearance by looking at the photos that they upload, and I think it could be a big humiliation for those who become the subject of it. KU 영자신문 [Cartoon] Great Loss of Beautiful Youth :A 19 year old worker hit by a train KU ABS [건국史 ②] 건국史 두 번째 이야기는 상허기념박물관 건물이기도한 서북학회 회관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일제강점기 시기, 애국계몽운동의 중심지었던 유서 깊은 건물, 서북학회 회관! 이 건물에 숨어있는 역사적, 건축적 요소를 살펴보러 함께 떠나시죠 :) KU ABS [대담②] [학우 참여 토론 프로그램] '대담'-프라임 사업(2) 대학생들의 담큰 대화, <대담>! 저번주에 이어 '프라임 사업'이라는 주제로 정치외교학과 이혜연 학우와 항공우주정보시스템공학과 신영빈 학우가 이야기를 나눠 봤습니다. 그들의 담 큰 대화, 감상해보시죠! ***아래 영상은 학생들의 주관적인 의견을 담고 있습니다. PD 맹선호 이자현 ENG 성창민 정희승 ANN 윤지현 건대신문 [인터뷰] 민상기 신임총장 인터뷰, “전통과 품격있는 대학으로 재도약하는 모습 보여주겠다” 민상기 신임총장 인터뷰, “전통과 품격있는 대학으로 재도약하는 모습 보여주겠다” KU미디어가 건국을 묻고, 총장이 답했다. 최근 한국대학사회를 둘러싼 이슈는 명백하다. 오는 2018년, 대학 전체의 정원수가 수험생 수를 역전하게 되는 전환점이다. 운영비의 50% 이상을 학생들의 등록금에 의존해온 사립대학들의 처지로선, 피할 수 없는 변화 앞에 골머리 앓을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이런 시대의 흐름 속에서 민상기 신임총장은 어떤 변화와 미래를 생각하고 있을까? 학내 구성원들과 어떻게 소통하며 어떻게 위기를 헤쳐 나갈 것인가? 그의 고민과 해답을 듣기 위해, KU미디어 언론 3사(건대신문, 학원방송국ABS, 영자신문Bulletin)는 지난 22일 민 신임총장의 비전과 철학을 묻는 특집 인터뷰를 공동으로 진행했다. 본지 뿐만 아니라, <ABS>의 특 집 방 송 도 준 비 돼 있 다. (http://abs.konkuk.ac.kr/) 영어에 자신이 있다면 10월호 <Bulletin>를 일독해보는 것도 좋을 것이다. 민상기 신임총장 (사진ㆍ심재호 기자) 영자신문(이하 영): 학교 현황에 대해 평가한다면? 우리대학은 잠재력이 굉장히 큰 대학이다. 하지만 지난 4년 동안 부총장과 프라임사업단 단장 등을 역임하면서 우리대학의 장점이나 역량이 분산돼 있다는 느낌을 받았다. 올해 선정된 프라임사업이 일종의 전환점이 되지 않을까 싶다. 3년간 480억이라는 큰 지원금을 받게 되면서, 다시 한 번 ‘할 수 있다’는 학내 분위기가 조성이 됐다고 본다. 이러한 분위기에 힘입어 잊혀가던 우리대학의 전통과 역사를 다시금 되살려낼 기회가 왔다는 생각이 든다. 예전에 모 정치계 인사로부터 이런 이야기를 들었다. 자신이 아는 건국대학교는 단지 구성원들의 대학이 아니라 국가적으로도 가치 있는 대학이라는 이야기였다. 70년 간 20만 이상의 동문들을 배출했고, 그 동문들이 국가의 어떤 곳곳에서 선도하는 인재가 됐으니 말이다. 그런 대학이므로 지금은 좀 어렵더라도 곧 잘 헤쳐 나갈 것이라는 응원의 말도 있었다. 이 얘기를 들으면서 우리대학 역사의 부흥에 대한 생각을 많이 하게 됐다. 방송국(이하 방): 대학가의 가장 큰 화두가 ‘소통’이다. 학생들과의 소통을 어떻게 이어나갈 것인지? 총장이 되기 전부터 학생들과 가장 많이 만난 교수라고 자부하고 있다. 프라임사업단 단장을 역임하면서 학생들을 6개월 이상 만나왔다. 이미 지난학기부터 교학소통위원회(이하 교소위)를 통해 총학생회와 부총장이 지속적으로 소통을 해오고 있다. 단과대별 교소위도 운영 중이다. 요즘 교무위에서 각 단과대 학장들에게 교소위에서 학생들과 얼마나 이야기하고 있는지, 어떤 이야기가 오고갔는지 계속 얘기해달라고 하고 있다. 본부 차원에서 학생들과의 소통은, 이미 거의 일반화, 정상화된 상태라고 본다. 건대신문(이하 건): 취업역량강화 말씀을 많이 하신다. 지난 8월 30일 연합뉴스와의 인터뷰에서도 “요즘 10대는 대학이 진로를 보장해주길 바란다”고 얘기했는데, 총장이 생각하는 대학의 역할이 무엇인지 궁금하다. 좋은 질문이다. 대학에게 요구되는 과거의 가치와 오늘날의 가치는 다르다고 생각한다. 오늘날 대학의 존재가치는, 해외유명 대학 등을 봐도 알 수 있듯, 사회적ㆍ산업적 변화와 발전을 선도해야 한다는 것이다. 대학은 지식을 창출하고, 이 지식을 사회에 확산시켜서 변화를 일으켜야 한다. 그러나 지금의 우리나라를 보면 안타깝게도 기업이 대학을 선도하고 있다. 그만큼 대학의 역량이 떨어져 있다는 반증이다. 이런 맥락에서, 내가 ‘취업역량강화’라고 말한 것은 단순히 계약학과 등을 만들어 바로 취업을 시켜준다거나 하는 차원의 얘기가 아니다. 학생들이 우리대학을 선택할 때, 커리큘럼 등 여러 가지를 보면서 자신의 사회진출 이후의 모습을 명확하게 그릴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런 확신을 주는 것이 중요하다. 취업률도 덩달아 많이 오를 수도 있지만 그것이 취업역량 강화의 핵심은 아니다. 대학은 그 학생이 선택의 기로에 섰을 때 활용할 수 있는 충분한 역량을 쌓을 수 있게 도와줘야한다. 그래야 우리대학이 학생들에게는 좋은 대학, 사회적으론 존경받는 대학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영: 교내 장학금 확대 방안에 대한 자세한 이야기가 듣고 싶다. 우리대학은 현재 학생들에게 400억 가량의 장학금을 지급하고 있는데, 등록금 수익으로 나오는 장학금과 그 밖의 수익금으로 나오는 장학금 등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여기서 등록금을 더 올려 장학금을 준다는 건 불가능한 일이고, 결국 학교가 수익을 창출해 재원을 마련하는 방법뿐이다. 장학금 확대방향의 핵심은 학생들의 실질적인 교육의 효과와 질을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는 장학금을 만들자는 것이다. 단순히 성적 장학금만으로는 모든 종류의 인재들을 지원할 수 없다. 계획 중에 있는 한 가지 방안은 ‘진로개발장학금’이다. 자기계발 프로그램이나 스스로 만든 뚜렷한 로드맵이 있는 학생들에게 지급되는 장학금이다. 여기서 분명히 말씀드리는 것은, 향후 장학금 규모가 더 늘어나면 늘어나지 줄어드는 일은 없을 것이다. 건: 두 학과 이상에서 활동할 수 있는 인재를 교수로 채용하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한 사람의 연구 분야가 분산되면 연구역량 저하가 발생하진 않을까? 교수들의 개별연구업적을 보면서 미팅을 하면, 우수한 능력을 지닌 교수임에도 불구하고 프로젝트와 논문실적이 저조하거나 능률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아직은 구상단계에 있는 이야기긴 하지만, 사실 우리대학의 학사구조가 연구역량을 어느 정도 낭비하게 만드는 부분이 있어 그 부분을 대대적으로 개편할 생각이다. 예컨대 현재 교수들의 연구 분야들을 보면, 소프트웨어 개발 관련 교수가 정보통신대학에도 있고 전기공학과에도 있는 식이다. 이는 학과간의 소통이 이뤄지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교수채용을 학과별로 진행하기 때문에 생기는 문제다. 본부가 모든 단과대와 각 학과에서 필요한 인력이나 기술을 총체적으로 파악해서 배정한다면 이러한 낭비를 줄일 수 있다. 각 학과의 목적과 특성에 부합하는 이들을 뽑자는 이야기다. 방: 인문ㆍ사범ㆍ예술계열 학우들이 시설낙후나 입학정원감축 등에 대해 불만이 많다. 어떻게 해결할 생각인가? 신공학관 완공 이후의 시설개선 제 1순위가 문과대ㆍ사범대 강의동이다. 지나치게 노후화된 문과대학과 사범대학이 쾌적하게 이용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고자 하는 방향이다. 재원에 대해선 아직 구체적인 내용을 공개할 순 없지만, 일단 몇몇 기업들과 기부채납 이야기가 오가고 있다. 이렇게 첨단시설이 마련되면 학생들에게 토론식 수업, 자유로운 학생활동 공간 등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입학정원에 대해선 교수들로부터도 비슷한 질문을 많이 받았다. 총장으로서 하고픈 말은 기존의 틀을 깨자는 것이다. 유럽 등지의 대학들과 비교했을 때, 우리나라 대학들의 학과별 입학정원은 지나치게 경직돼있다. 입학정원이 30년 40년 그대로 유지되면서 학과 간 장벽이 공고화됐다. 외국대학은 얼마든지 학과 간 교류가 되고, 사회수요나 대학 정책에 따라 학과별 정원을 탄력적으로 조정한다. 그런데 우리대학은 학과에서 한 번 30명을 배정 받았으면 그렇게 쭉 가야한다고 생각한다. 나는 이것이 잘못된 대학문화라고 본다. 앞으로는 3000명의 총 입학정원 내에서 학과별 입학정원은 매년 탄력적으로 조정하는 방향으로 갈 생각이다. 민상기 총장이 KU미디어 기자들과 간담회를 진행하고 있다.(사진ㆍ심재호 기자) 건: 학과별 인원을 탄력적으로 조정한다고 하면, 대상학과들이 혼란에 빠지진 않을까? 물론 최소정원제 등을 통해 혼란을 방지할 계획도 있다. 학문의 고유특성도 살리는 방향도 계속해서 모색할 것이다. 멀쩡한 학과가 갑자기 없어지는 사태 등을 염려할 필요는 없다. 다만 대학이 산업을 선도하기 위해선 관련 영역, 특히 융ㆍ복합 산업영역에 대한 지원이 필수라고 본다. 그것은 학과 인원이 고정된 상태에선 불가능하다. 사회적 수요에 맞게 탄력적으로 새로운 학과를 만들어서 학생들 수요에 맞게 교육시켜 내보내는, 그런 선순환 구조를 만들 것이다. 건: 우리대학의 재정위기를 늘 말씀하신다. 하지만 약 1,000억 원 가량 쌓여있는 적립금을 보면 한편으로는 의아하다. 어떻게 사용되고 있나? 아직 부서별 업무보고를 정확히 받은 상황이 아니란 점을 양해해주기 바란다. 확실하게 말할 수 있는 건 지금의 우리대학의 재정이 현상 유지 이상의 발전을 추구하기엔 힘든 수준이라는 것이다. 예를 들어, 작년까지 공대의 실험장비들을 보면 굉장히 낙후돼있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를 개선하기 위해 쓸 재원이 거의 없었다. 프라임 사업이 선정되면서 강의실ㆍ연구실ㆍ실험장비 등의 개선방안을 세울 수 있었던 것이다. 대학의 적립금은 대개 어떤 목적성이 있다. 이는 1,000억 2,000억이 있어도 본부가 당장 필요한 곳에 마음대로 쓸 수가 없다는 의미다. 구성원들이 많이 오해하는 부분이다. 예를 들어 건축적립금은 특정한 건축 계획을 짜놓고 그 기간 동안 필요한 액수만큼 적립해뒀다가 계획했던 대로 써야 한다. 이외의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법적으로 제한된다. 사실 건국대는 서울권 대학 중 적립금규모가 굉장히 낮은 편에 속한다. 특히 이번 신공학관 지으면서 그나마 있던 적립금도 거의 다 쓴 것으로 알고 있다. 방: 총장 후보자 당시 재정 1,000억 원 확충을 공약으로 내세웠다. 구체적인 방안이 듣고 싶다. 첫째 방안은 동물병원, 출판부, 미래지식교육원 등 기존의 수익구조를 다듬어 더 높은 수익을 창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세부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둘째 방안은 역시 정부나 선업체의 대학재정지원사업 수주다. 프라임사업에서 경험했듯이 우리대학에겐 충분히 경쟁대학을 제칠 수 있을 만한 잠재력이 있다. 당장 내년 초에 있을 ‘ACE사업’, ‘포스트LINC’사업 등 몇 가지 대학재정지원사업을 이미 준비 중에 있다. 또한 기업들의 기부채납도 어느 정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우리대학의 지리적 요건에 꽤 많은 기업들이 관심을 갖고 있다. 마지막으로, 교내의 연구성과를 가지고 일종의 사업화를 구체화하는 방안도 구상 중이다, 거기서 창출되는 수익을 학생들의 교육지원금 등으로 활용하는 것이다. 1,000억 원이라는 숫자엔 ‘목표를 일단 크게 잡아야 결과가 좋다’는 생각이 약간은 반영된 것이지만, 위의 계획들이 잘 진행된다면 그에 준하는 재정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본다. 방: 프라임사업의 수익이 학생들에게 실질적으로 어떤 혜택으로 돌아오는 것인지 궁금하다. 학생들이 그런 질문 많이 한다. 노트북이라도 하나씩 사서 학생들에게 나눠주는 거냐는 식이다. 그런데 생각해보자. 그렇게 하고나면 그 다음에 뭐가 남아있겠는가? 없다. 학생들에게는 직접적인 체감효과가 적을 수도 있지만, 정부의 재정지원금은 교육시설을 개선하라고 제공하는 자원이다. 장학금 늘리고 교육환경 개선하는 것에, 즉 100% 학생들을 위해서 쓰이는 것이다. 동아리실을 비롯한 노후화된 시설을 첨단으로 바꾸고, 토론식 수업을 위한 새로운 강의실도 만들 계획이다. 내년부터 윤곽이 드러나게 될 ‘스마트팩토리’도 학생들에게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예술ㆍ디자인, 인문학, 바이오, 공학 학생들이 너나할 것 없이 모여 무한하게 아이디어를 나누고 실현하는 공간을 만드는 것이다. 향후 2~300평에 달하는 ‘게임 공간’을 보면 아마 다들 깜짝 놀랄 거다. 사실 불만이 더 많은 건 교수들이다. 다들 고생하셨지만 월급도, 추가수당도 드릴 수가 없다. 정부의 지원금은 오로지 학생들을 위한 지원금이기 때문이다. 영: 재정지원이 프라임 선도학과에 지원이 유독 집중된다는 지적들이 있는데 오해가 조금 있는 부분이다. 프라임 선도학과(KU융합과학기술원)가 신설학과다보니 뿌리를 어느 정도 내릴 때까지는 초기자금이 발생하기 때문에 부득이 좀 더 많이 지원하고 있는 것이다. 소위 ‘특정학과 밀어주기’를 하는 것은 결코 아니다. 프라임사업 지원금은 명확한 기준에 따라 각 학과에 공정하게 분배될 것이다. 실제로 지금 학과마다 ‘취업역량강화프로그램’이 진행 중이다. 좋은 교육 및 취업 프로그램을 만들면 연간 최대 1억 원까지 지원해 줄 계획이다. 앞서 말했듯 취업역량을 강화하고 대안을 모색하는 학과에 지원금이 우선적으로 돌아가게 될 것이다. 건: 국가의 대학재정지원사업의 확대가 사립대학의 자율성, 자립성을 훼손한다는 목소리가 있다. 총장으로서 어떻게 생각하나? 어느 정도 동감하는 바가 많다. 교육부가 대학이 자립할 수 있는 사업모델을 제한하는 부분이 있다. 기부금을 예로 들자면, 법적인 규제가 엄격해 모으는 것도 쓰는 것도 쉽지 않다. 대학 또한 나름대로 재정확보를 위한 자체사업들을 진행하는 등 노력을 하고는 있지만, 이 또한 생각대로 해내기 어렵다. 이런 상황에서 가장 쉽게 떠올릴 수 있는 대안은 등록금 증액인데, 이는 아예 국가적, 사회적 차원의 문제로 지적되다보니 역시 불가능하다. 결국 교육부등 정부기관의 대학재정지원사업을 바라볼 수밖에 없는 게 현실이다. 자연스럽게 국가가 주도하는 방향이 중점적으로 고려되는 것이다. 질문내용이 아마 이런 환경을 지적하는 것 같다. 만약 국가가 대학 스스로의 발전을 원한다고 한다면, 향후 미국처럼 기여 입학제를 도입하거나 수익사업 규제를 완화해주는 방향을 검토해볼 수도 있을 것이다. 정부차원에서 대학들의 잠재력을 좀 더 발휘하도록 도울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길 기대하고 있다. 방: 총장이 상상하는 앞으로의 건국대 모습을 듣고 싶다. 졸업생들이 이 대학을 떠날 때, 사회적으로 가치 있는 대학, 명문으로 존경받는 대학이라는 자부심을 갖고 사회에 진출할 수 있는 그런 대학을 바란다. 단순히 언론사의 대학평가 등에서 보여지는 순위가 아니라 학생 만족도가 가장 높은 그런 대학을 만들고 싶다. 올해가 개교 70주년인데, 약 200개에 달하는 국내 4년제 대학 중 이만한 전통과 뿌리가 있는 민족사학은 우리뿐이다. 뿌리를 모르고 성장하려고 하는 것은 ‘사상누각’이 아닌가 싶다. 대학을 이끄는 어떤 정신이 있다고 생각한다. 그것을 되찾기 위해서 70년사를 발간하고, 거기서 발굴된 모든 고증자료들을 보여줄 수 있는 ‘건국 역사박물관’을 만들어서 우리 모든 구성원들이 역사의 한 축이었다는 것을 자각할 수 있게 만들고 싶다. 다시 한 번 건국대가 새롭게 도약하는 대학, 전통과 품격이 있는 대학이라는 것을 대내외적으로 보여주고 싶다. 인터뷰ㆍ정두용 기자 jdy2230@konkuk.ac.kr 정리ㆍ심재호 기자 sqwogh@konkuk.ac.kr 건대신문사 kkpress@hanmail.net <저작권자 © 건대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목록 제목+내용 댓글 닉네임 쓰기 Prev 1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Next / 83 GO / 83 GO
댓글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