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U 미디어 교내 건대신문,학원방송국,영자신문에서 발행하는 다양한 콘텐츠를 열람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본 게시판에 올라오는 모든 게시글에 대해 무단 복제 및 전제를 금합니다. 전체 건대신문 672 KU ABS 55 KU 영자신문 102 KU ABS [대담③] 2016.10.24 12:07 ABS 조회 수 : 1317 추천 수 : 0 댓글 수 : 2 [학우 참여 토론 프로그램] '대담'- 이공계 병역 특례(1) 대학생들의 담큰 대화, <대담>! 이번 주는 '이공계 병역 특례'라는 주제로 수학과 이준하 학우와 기계공학과 지창현 학우가 이야기를 나눠 봤습니다. 그들의 담 큰 대화, 감상해보시죠! 첨부 1 b062564925d727240877a69d42b9833d.jpg 157.7KB 추천 비추천 목록 신고 댓글2 전체 건대신문 672 KU ABS 55 KU 영자신문 102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건대신문 [보도]최순실 게이트에 학우들 발끈, "박근혜 정부는 민주주의 파괴자" 시국선언 발표 (보도일자 2016. 10. 27.) 26일, 우리대학 학우들이 비선실세로 지목되는 최순실씨 국정개입 의혹과 관련해 박근혜 정부의 사퇴와 특검 등을 촉구하는 시국선언문을 발표했다. △총학생회 ‘한울’ △정치대학 학생회 △세월호를 기억하는 건국대 학생들(이하 세기건) 등 학내 단체들은 이날 오후 △학생회관 △제2학생회관 △상허연구대 등 6군데에 시국선언문을 게시하고 각 학내 단체들 페이스북 페이지에 시국선언문을 게시했다. 이들은 “최순실씨가 청와대 내부 인사 문건을 보고 개입한 것과 최순실씨에 대한 각종 정부의 특혜들은 빙산의 일각이다”고 말하며 “이 거대한 정경유착과 비리의 고리를 제대로 파헤쳐야 하고, 그 책임을 져야한다”고 말했다. 정치적 중립성을 이유로 사회적 발언을 삼가던 총학생회 <한울>도 이번 시국선언에 동참했다. 박우주(경영대ㆍ기술경영4) 총학생회장은 “이번 사안은 대한민국 자체를 흔들리게 하는 명백한 정부의 잘못”이라며 “공공연연하게 정부의 잘못이라고 판명이 난 사건이기 때문에 참여하게 됐다”고 밝혔다. 덧붙여 박 총학생회장은 “총학생회에서 시국선언을 기획하고 있었으나 세기건에서 제안이 와 서둘러 논의를 맞춰 같이 참여하게 됐다”고 말했다. 이번 시국선언을 기획한 '세월호를 기억하는 건국대 학생들' 소속 김무석(수의대ㆍ수의학4) 학우는 “선언으로 끝날 것이 아니라 행동으로 나아갈 필요가 있다”며 “학우 여러분들이 집회나 궐기대회 등에 참석하여 직접 목소리를 전달했으면 한다”고 전했다. 이밖에도 현재 △이화여대 △서강대 △경희대 등 전국의 여러 총학생회에서 박 대통령의 사퇴와 특검을 요구하는 시국선언문을 냈고 △고려대 △한양대 △중앙대 총학생회 등도 각 대학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시국선언문을 발표할 예정이다. 건국대학교 시국선언 (1차) 민주주의 파괴의 주범, 박근혜 정부는 당장 사퇴하라! 박근혜 대통령의 연설문을 최순실(최서원으로 개명)씨에게 사전 보고 했다는 사실을 바로 그제 (24일) JTBC가 폭로했다. 이원종 대통령 비서실장이 지난 21일 국회 운영위 국정감사에서 "봉건시대에도 있을 수 없다"고 말한 지 나흘 만이다. “봉건시대에도 있을 수 없는 일”이 오늘날 벌어진 것이다! 박근혜 대통령은 어제(25일) 대국민 사과문을 통해 친한 친분이 있는 최순실씨에게 연설문을 미리 보여줬던 것뿐이라고 변명했다. 그러나 바로 당일 JTBC는 최순실씨가 청와대 내부 인사 문건을 보고 받았고 개입했을 정황이 있다고 폭로했고, 최순실씨가 정부가 북한과 비밀로 접촉했던 사실에 대한 보고도 받았던 것으로 드러났다! 몇 시간도 가지 못할 거짓말을 대국민 사과문에 담는 뻔뻔함에 기가 막힐 노릇이다. 최순실 게이트는 이화여대와 최순실의 딸 정유라 특혜와도 연관되어 있다. 부정 입학, 부정 출석, 문자 레포트 제출, 성적 특혜 등의 온갖 비리가 하루가 멀다 하고 추가되고 있다. 삼성은 정유라에게 세계 최고 수준의 말을 줬고, 전경련은 미르와 K스포츠 재단에 각각 486억, 288억의 자금을 지원해 줬다. K스포츠 재단은 정유라를 전폭적으로 지원했다. 최순실이 박근혜에게 추천한 차은택은 “문화계 황태자”라 불리며 미르 운영을 주도했다. 지금 폭로된 사실들은 빙산의 일각이다. 이 거대한 정경유착과 비리의 고리는 모두 파헤쳐져야 하고, 그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한다. 그러나 조사 대상인 박근혜 정부의 검찰이 이런 조사를 제대로 할 리 만무하다. 청와대 민정수석 우병우가 이 비리 고리의 일부라는 의혹을 받고 있는데, 검찰의 조사를 보고 받는다는 것이 말이 되는가! 박근혜 정부는 세월호 참사에 대한 진상 규명과 책임자 처벌은커녕 은폐와 책임 회피를 일삼아 왔다. 백남기 농민은 국가 폭력으로 317일만에 목숨을 잃었다. 경제위기는 심화되고 노동자들과 청년들의 삶은 더 피폐해지고, 헬조선이라는 말이 유행하게 됐다. 그러나 이에 대한 아무런 책임과 반성이 없을 뿐 아니라, 부정부패를 일삼아 왔다는 것까지 폭로되고 있다. 역사적으로 많은 대학생들이 정권의 불의에 침묵하지 않았다. 우리도 이 시대의 대학생으로서 정권의 불의에 침묵하지 않겠다. 이 정부는 조사 대상으로 스스로 이 문제를 해결할 능력이 없다! 박근혜 정부는 민주주의 파괴의 주범이다. 박근혜 정부는 당장 사퇴하라! 2016년 10월 26일 건국대학교 총학생회 ‘한울’, 건국대학교 정치대학 학생회, 건국대학교 동아리 연합회, 동아리 연합회 인문사회과학분과, 세월호를 기억하는 건국대 학생들, 평화나비 건국대지부 쿠터플라이, 건국대학교 중앙역사학회 얼, 건국대 중앙사회과학동아리 마르크스주의로 세상보기, 인간과 사회를 위한 교양공동체 쿰 건국대지부, 노동자연대 건국대모임, 청년하다 건국대지부, 상경대 학회 파이, KU헌터 이용우 기자 a6331602@konkuk.ac.kr <저작권자 © 건대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U 영자신문 [Cartoon] Homogeneous Fault, Heterogeneous Assault! KU 영자신문 [Interview] What Is Design for All? 1. Please tell us about Dotween. Dotween is a brand which receives messages from customers and inscribes them on products by converting to braille. We redefined braille not only as the language for blind people but also a heartfelt language, so it can be approached by the non-disabled. Ultimately, our purpose is eliminating prejudices about the blind. Thus, we started this brand to convey information and knowledge about blind people more naturally. 2. It is hard to establish a business as a university student. How did you have the motives to attempt it? My partner has thought about the issue of the blind since he was a high school student. After much consideration, he concluded that making a brand is the most effective way to alert people to this issue. 3. Why did you utilize crowd-funding1 when you started a business? We thought that we could introduce this brand and reach the masses easily by using crowd-funding. Furthermore, we needed to gain sympathy and energy from many people. To satisfy our needs, the platform of crowd-funding was a good fit for us. Thanks to these thoughts, we started this way and raised capital successfully. 4. Why do you pursue the concept of inscribing braille in leather? Braille is the language which is felt and touched by hand. Moreover, leather has a warm sensitivity and it ages nicely when it is touched. We thought combining these materials can make a synergy and let the disabled and the non-disabled go through the same experience. Therefore, we made designs reflecting these traits. 5. In another interview, you said that braille becomes a secret code because of a method that inscribes messages. Why did you think this way? Braille consists only of six dots. However, it has different meanings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Nowadays, many people hesitate to express gratitude and love, so they do not write letters. Thus, we set up to deliver secret messages and decided to use this way, as hoping they would convey and express their mind through this system. 6. What is the most memorable message for you? Some messages come to mind. Among other messages, “My father is my hero” is the most impressive to me. My customer presented the wallet inscribed with this message on Parents’ Day. I imagined her father’s look as he was moved by her gift and I was proud of my job. In addition, people often inscribe messages for themselves to encourage when they are tired or going through various hardships. 7. I heard you have a plan to extend your business abroad. How will you carry forward the business? We received a lot of feedbacks to expand overseas because leather’s merits were appreciated in many countries. Moreover, issues about the blind are worldwide problems. For these reasons, we thought collaboration with other nations can help to achieve our ultimate purpose. Furthermore, our acquaintances introduced interested people from the United States and France and a Frenchman made a connection to intern at our company. Based on this, we sent and received e-mails to suggest collaboration and I am going to go on a business trip to have meeting with the people. 8. Do you have any plans to publish a publication? We planned to cooperate with the project to communicate stories about the blind. We collaborated with “Our eyes”, an organization to support art training for visually handicapped children. The message of the book is that being blind is just a characteristic, not a flaw. We hope readers take a broader view and think more about the issues. 9. Among many methods, why did you use design to solve misconceptions about the blind? To approach these issues, making something attractive and interesting will raise people’s awareness. Thus, we felt that design acts as a bridge for more people to experience and access the issues. 10. Activities such as Dotween are small. Why did you decide to promote these activities? I debated with my partners about the reason why the rights of minorities are infringed and injustice is formed. As a result, we concluded that people did not get enough information or their awareness was wrong. The gap between the blind and the non-blind comes out from these factors. Therefore, we thought that some small attention and a little information can make everyone live in a fair society. Big campaigns that are led by large organizations are good, of course. However, one individual’s correct attitude helps more people work in this environment. This is a small step now, but we believe that it can grow like the butterfly effect, so we can convey our goals entirely to people. 11. Do you have any messages to tell to KU’s students? I hope that students live their life worthily, not just seeing your goal blindly. Lowering your tempo and considering what is valuable in life and your interests must be good for you. Moreover, one simple experience can become your good stepping stone. Therefore, I recommend you to have many experiences and do your best! KU 영자신문 [Reporter’s View] They are Our Family Too If there are five people in a supermarket, one of them would have a pet today. It is a certain fact that animals have become familiar to all of us as there are more than 100,000 people who have pets in their home. However, cruel abuse exists under the superiority of humans in the coexistence of bonding between humans and animals. Animal abuse is generally defined as every act that cases unnecessary or unreasonable harm to animals that is not for the reasons of self-defense or survival. Animal cruelty is a serious problem because it is not just confined to simply the strong harming the weak. The two biggest problems are that animal maltreatment has a negative influence on our society and the other is people might overlook the danger of abuse, not acknowledging the victims are also valuable members of society. It is very unethical behavior to abuse and kill weak and incapable of speech animals because of human’s outpouring of emotion. In addition, torturing animals can be an indicator of murder and all kinds of violence later in life. In fact, many criminals who commit brutal crimes confessed that they stabbed and hit animals a long time before committing their actual crimes. In Korea, we often hear about the cases of harming and killing animals on the news. Vicious incidents, for example, cutting tail of a stray cat, beating a dog to death, throwing a cat out of high-rise apartment, killing ex-girlfriend’s pet still occur these days. Animal abuse happens as a result of a way of thinking that makes light of life and unthoughtful mindset toward animals. Some people think the existence of animals is only for satisfying human’s convenience and needs but it is a completely anthropocentric point of view. A while ago, animals were just hunting targets for humans but now they have become partner with humans as pets and companions. In the USA, they take severe disciplinary action against those who treat animals cruelly, but in Korea, it is only a slap on the wrist. Fortunately, the current government in Korea seems to make an effort to improve the rights of animal. It is expected that a law prohibiting animal abuse that was pointless so far, will be revised to strengthen punishment and define regulations very clearly under the name of “Super animal abuse prohibition”. It enables any abused animals to be rescued emergency, imposing business cancellation or suspension to corporations cruel to animals and restricting pet ownership to animal abusers. Moreover, ill-treatment acts will be classified in detail. The category will be expanded to killing, assault, abandonment and mistreatment. Especially, a person who kill animals will be sent to jail for under three years or fined 5,000,000 won to 30,000,000 won. There is no society where only humans exist. We and animals has been living under the same sky, stepping on same land and breathe the same air. All living things on earth should live in harmony. People must not abuse animals just because they have the mere precedence over animals. Respecting life is not only for animals but it is also for us as well. KU 영자신문 [Campus Briefing] Never Ending Fight in Global Campus On November 20th 2015, a student union election was held in Konkuk University (KU) Glocal Campus but it was declared invalid because the turnout did not exceed 50 percent. In the following March, Kim won the by-election with the Am-hang-uh-sa student union. There was a 53.5 percent turnout (Counting seniors as graduate-to-be and only participants as the quorum). However, an objection was raised that the by-election should have involved seniors who enrolled seventh semesters in the quorum because it was held in March. If seniors who enrolled seventh semester are counted as valid voter, the turnout becomes 46.38 percent and the result gets invalid again. Therefore, the Central Election Management Commission (CEMC) voted and decided to have a revote for the student union election. Kim, who thought the result was unfair, denied the revote and claimed that it was an election custom to count seniors as graduate-to-be and only participants as the quorum. However, CEMC told Kim of the disqualification and Glocal Central Committee members elected Cha Jun-hun (College of International Business) as the committee chairman. Consequently, Kim sued the school about this issue and students from the KU Seoul Campus All Student Representative Meeting voted to support Kim by making a proclamation. KU 영자신문 [Campus Briefing] Ilgamho Lake Turns Into A Green Lake Nowadays, Ilgamho Lake has become green because of algal blooms. Among all the algae, the biggest cause of the color is cyanobacteria, or blue-green algae. Cyanobacteria absorbs the nutriments which have indium and nitrogen. They grow quickly, so a "bloom" happens. There are plenty of nutriments in Ilgamho Lake. Most of them come from the deep mud layer of the lake's sediment. Mainly, nutriments flow out of the mud layer and they stimulate the growth of algae. Moreover, since the lake is confined, no water pours in and the water becomes dirty naturally. These are conditions in which algae can grow well. Also, the temperature affects the growth. Because Ilgamho Lake has many nutriments, algal blooms always occur regardless of the season on it. However, the most of the harmful algae occurs when the temperature becomes high, so summer is when the peak growth occurs. To make matters worse, cyanobacteria secrete a substance that makes the lake stink and toxin. For these reasons, Ilgamho Lake looks green and students can smell a nasty odor during summer. Thus, Konkuk University (KU) has taken a step to deal with algal blooms. The main way is using a boat on the lake. If the algae bloomed, they would rise to the surface of the lake. Consequently, using a boat can break the bloom on a surface and mix the water. It is a temporary measure because it cannot get rid of algae entirely. Still, though it is a temporary expedient, it can dilute a degree of the algae. KU ABS [29초 드라마] ep 2. 우리가 이별한 이유 KU ABS [대담③] [학우 참여 토론 프로그램] '대담'- 이공계 병역 특례(1) 대학생들의 담큰 대화, <대담>! 이번 주는 '이공계 병역 특례'라는 주제로 수학과 이준하 학우와 기계공학과 지창현 학우가 이야기를 나눠 봤습니다. 그들의 담 큰 대화, 감상해보시죠! 건대신문 [보도] "물대포 맞곤 절대 사람 안 죽어" 이용식 교수 발언에 학우들 규탄 "물대포 맞곤 절대 사람 안 죽어" 이용식 교수 발언에 학우들 규탄 사진ㆍ정두용 기자 "백남기 농민의 사인은 빨간 우의 남성의 가격 때문"이라는 주장으로 여론의 조명을 받는 우리대학 의학전문대학원 이용식 교수를 학우들이 규탄하고 나섰다. '세월호를 기억하는 건국대 학생들' 등 우리대학 내 학생모임 7개는 18일 "국가 폭력 은폐하는 건국대 의학전문대학원 이용식 교수 규탄한다"라는 내용의 기자회견을 제1학생회관에서 열고, 이 교수의 연구실에 직접 찾아가 항의문을 붙였다. 당시 이 교수는 본인의 연구실에 있지 않은 상황이었다. 이날 기자회견에 참여한 학우들은 "이 교수의 주장은 허황된 것"이라고 일축했다. 그들은 "이 교수가 짜깁기한 영상은 백 농민의 안면을 물대포가 강타하는 장면을 뺐고, 백남기 농민을 구하려다가 물대포를 직격으로 맞아 백남기 농민 쪽으로 쓰러진 것이 분명한 시민을 살인자로 지목했다"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진리의 상아탑이 돼야 할 대학의 교수가 이런 진실 은폐와 왜곡을 일삼고 있다는 일에 개탄을 금할 수 없다"라고 말했다. 기자회견에 참여한 조연호(정통대ㆍ컴공3) 학우는 “서울대 학생들과 동문들이 국가의 진실 은폐에 맞서 싸우고 있을 때, 이 교수는 ‘일베’ 같은 우익 사이트에 떠도는 터무니 없는 주장을 했다”고 비판했다. 신동주(일반대학원ㆍ경제1) 원우 역시 “이 교수를 비롯해 '빨간 우의' 설을 유포하고 있는 사람들은, 국가폭력의 진실을 은폐하고자 하는 의도”라고 주장했다. 이 교수 규탄 기자회견에 참여한 학우들이 학생회관 앞에서 피켓과 현수막을 들고 있다. (사진ㆍ정두용 기자) 이 교수는 백 농민의 사인과 관련해 "물대포를 맞곤 절대 사람이 죽을 수 없다"며 "빨간 우의를 입은 남성이 머리를 가격해 백씨를 사망에 이르게 했다, 조속히 부검을 해야 한다"라고 주장해왔다. 또한 그는 "명백한 살인범이 있는데, 유가족들은 물대포 탓만 한다"라면서 "(유가족들은) 정상적인 우리나라 사람이 아니다"라는 말까지 하기도 했다. 위의 발언이 담긴 영상은 유튜브(영상보기 : https://www.youtube.com/watch?v=D3bVtsLLmtE)에서 58만여 건의 조회수를 기록하고 있다. 또한, 그는 팟캐스트 <신의한수> 프로그램에서 “백씨가 폭행에 피 뿜는 장면 찾았다”라고 주장했고, <뉴데일리> 인터뷰에선 “23일, 10기압 물대포 맞겠다”며 공개실험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이 인터뷰에서 이 교수는 “이 실험에서 내가 안와골절상을 입는지 안 입는지 꼭 지켜봐 달라”고 말했다. 이를 두고 김진태 의원(새누리)은 지난 13일 국감장에서 "물대포 시연 자청한 이 교수는 의인"이라고 평가하기도 했다. 기자회견 불참한 총학생회, 이유는? 한편, 총학생회 <한울>은 기자회견에 참여하지 않았다. 기자회견을 준비한 김무석(수의대ㆍ수의학4) 학우는 “총학생회에게 두 차례 참여를 문의했지만 기자회견 당일까지 ‘검토 중’이란 답변만을 받았다”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박우주(경영대ㆍ기술경영4) 건국대 서울캠퍼스 총학생회장은 기자와의 인터뷰에서 “대학원 소속 교수의 발언을 ‘의학전문 대학원 학생회’와 ‘대학원 총학생회’가 의학 전문가의 개인적 의견이라고 여기는 점을 고려했을 때, 총학생회가 직접 참여하기엔 무리가 있었다”며 “또한 학생회가 정치ㆍ사회적으로 첨예하게 대립하는 문제에 견해를 밝히는 것은 공정성에 어긋날 수 있다”라고 참여하지 않은 이유를 밝혔다. 정두용 기자 jdy2230@konkuk.ac.kr <저작권자 © 건대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건대신문 [칼럼] 서울시는 맞고 정부는 틀리다 [단상] 서울시는 맞고 정부는 틀리다 서울 지하철 노조 파업 3일째인 지난 29일 서울시와 노조가 파업을 중단하기로 합의했다. 서울시와 서울 지하철 노조가 소통을 통해 합의에 성공한 것이다. 다음날인 30일날 정부는 “성과연봉제는 보수체계 개편을 통해 공공기관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라며 “올해 안에 도입하지 않는 기관에는 총인건비 동결 및 경영평가 감점 등 불이익을 지속적으로 주겠다”고 밝혔다. 도대체 성과연봉제가 무엇이길래 정부와 서울시 의견이 확연히 갈릴까? 성과연봉제 사전적 정의는 ‘직원들의 업무능력 및 성과를 등급별로 평가해 임금에 차등을 두는 것’이다. 즉 임금을 근속연수와 직급이 기준이 아닌 한 해 개인별 성과에 따라 차등을 둔다는 것이다. 고성과자에게 그에 맞는 대우를, 성과를 내지 못한 사람에게는 그에 따른 불이익은 준다는 말은 일면 타당하게 들린다. 문제는 성과를 측정하는 기준의 타당성과 평가의 공정성을 얼마나 객관적으로 기업 구성원에게 설득할 수 있는지 이다. 실제로 일본의 경우 업무와 부서의 성격에 따라 성과연봉제 적용해 적용받는 인원은 채 5%가 되지 않았다. 사회적 공헌도보다 이익추구를 우선할 수밖에 없는 사기업 같은 경우 업무와 부서의 성격에 따라 일부분 성과연봉제를 적용해도 큰 문제가 되지 않을 수 있다. 하지만 공기업에 대한 성과평가는 영업이익뿐만 아니라 공공서비스에 대한 평가도 병행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그만큼 공기업의 성과평가 도입에 대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또한 성과연봉제는 노동자들의 생계가 달린 임금체계 개편사항이기 때문에 노사의 충분한 합의가 필요한 사항이다. 대법원 판례에도 중요한 근로조건은 노사가 합의해야 한다고 나와 있다. 그렇기 때문에 각 공기업별 노사간 대화가 충분히 진행되지 않은 상태에서 정부의 일방적으로 밀어붙이기는 노동자들의 반발과 국민들의 불편을 초래하는 등 부작용이 따를 수 있다. 성과연봉제 자체는 토론해볼 수도 있는 과제이다. 성과를 측정하는 기준의 타당성과 평가의 공정성을 충분히 논의하고 노동자들의 의견을 수렴한 다음 도입을 고민하자는 것이다. 서울시는 필자에 이런 마음을 알았는지 성과연봉제 도입을 노사 합의에 따라 결정하기로 입장을 정했다. 이에 반해 정부는 “국민의 관점에서 흔들림 없이 공공개혁을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한다. 저 '국민'과 관점이 다른 필자는 국민이 아니란 말인가. 서울시는 맞고 정부는 틀리다. 이용우 보도부 기자 이용우 기자 a6331602@konkuk.ac.kr <저작권자 © 건대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목록 제목+내용 댓글 닉네임 쓰기 Prev 1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Next / 83 GO / 83 GO
댓글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