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준열 시사부장 국회에서 입법과 인준, 청문회 등이 진행된다면, 학생사회에서 국회와 같은 역할을 하는 곳은 ‘전학대회’를 들 수 있다. 전체학생대표자회의(이하 전학대회)는 총학생회의 의결기구로, 정기적으로 개회하지 않는 학생총회를 제외하면 규모나 권한 등 모든 부분에서 가장 비중있는 학생 행사다. 필자는 다섯 번의 전학대회에 참관 했는데, 회의는 대개 낮에 개회돼 새벽까지 이어지며 심지어는 동이 틀 때까지 회의가 진행되기도 한다. 늦은 시간에도 열띤 토론을 벌이고 의결권을 행사하며 학생사회 발전에 이바지하는 ‘학생 대표자‘에 경의를 표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러나, 더 건설적인 전학대회를 위해 개선해야 할 점이 많은 것도 사실이다. 전학대회는 중앙운영위원회(이하 중운위)에 참석하는 대의원과 참석하지 않는 대의원 간의 마찰이 두드러진다. 중운위는 학생 최고 운영기구로, 중운위 구성원들은 모두 전학대회에 대의원으로 참석한다. 주로 학칙을 개정하는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하는데, 일부 개정안이 중운위의 권한 강화 및 전학대회의 권한 약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중운위 측은 전학대회가 자주 열리지 않는 만큼 중운위로 즉각적인 대응을 할 수 있는 효율성을 이유로 들지만, 일부 대의원들은 중운위의 ‘밀실 결정‘와 ‘날치기’를 우려한다. 실제로 중운위의 속기는 공개되며 대학언론이 출입 함에도 중운위는 일부 대의원에게 신뢰받지 못하고 있다. 전학대회는 학생사회 내부의 문제를 다루는 것에 집중된 구조를 갖는다. 회의는 총학생회비 예결산안을 인준하고 회칙을 개정하는 절차를 거친다. 이후 논의 및 기타 안건에서 가서야 다른 문제를 논할 수 있는 구조다. 학사구조조정 등 사안이 엄중할 경우 심도 있는 논의가 이뤄지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이미 많은 의결을 거쳐 지쳐있는 대의원에게 연달아 다양한 학생사회의 외부적 문제들을 논의 하라는 것은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전학대회에 적극적이지 않은 대의원이 있다는 것도 문제다. 전학대회는 대의원의 집합이 어려워 상반기와 하반기에 각각 한 번씩 정기개회한다. 심지어 하루 안에 많은 안건을 검토하기에 상당히 고되다. 그러나 전학대회 대의원으로 참석하는 것은 학생대표의 권리이며 의무다. 중대한 이유가 없음에도 회의에 참석하지 않는 것은 자신이 대표하는 단위의 격을 떨어뜨리는 행위이다. 개회시간이 지났음에도 정족수 미달로 개회되지 못해 노심초사하는 대의원들 사이로 운동을 하다가 마지못해 참석하는 듯한 대의원도 있다. 전학대회가 길고 따분해 학우들의 관심을 덜 받을 수 있지만, 이 회의의 힘은 학생사회를 바꿀 정도로 강하다. 대의원들도 그 중요성을 알고 밤을 새워가며 회의를 이어가지만, 정말 많은 시간을 투자해도 부족할 정도로 다뤄야 할 사안은 엄중하다. 매번 회의에 참석할 때마다 시간이 부족하다는 인상을 받는다. 더군다나 매년 대의원이 바뀌어 회의가 매끄럽지 못하게 흘러가는 부분도 있다. 다양한 부분에서 문제점을 짚어내고 효율적인 방안을 모색해, 학생사회에 이바지하는 바가 큰 전학대회가 더 제대로 진행됐으면 하는 바람이다. 이준열 기자 index545@konkuk.ac.kr <저작권자 © 건대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