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U 미디어
교내 건대신문,학원방송국,영자신문에서 발행하는 다양한 콘텐츠를 열람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본 게시판에 올라오는 모든 게시글에 대해 무단 복제 및 전제를 금합니다.
석유나 석탄을 캐듯이 데이터를 캐서 가치를 만드는 데이터 중심 사회가 도래했다. 데이터경제 또는 데이터자본주의 시대로 진입한 것이다. 데이터경제는 2011년 데이비드 뉴먼(David Newman)이 가트너(Gartner) 보고서(How to Plan, Participate and Prosper in the Data Economy)에서 ‘데이터 경제(Data Economy)에서 처음 언급한 용어이다. 이후, 2014년부터 유럽 집행위원회가 경제성장과 일자리 창출 동력으로 데이터 경제 개념을 정책 개념으로 도입하면서 범 세계적으로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우리 정부도 대통령 직속으로 제4차산업혁명위원회를 구성해서, 데이터경제에 대응하기 위한 신산업 육성 및 인력 육성에 관한 정책을 개발 중이다. 우리 정부는 2018년에 과학기술정보통신부ㆍ행정안전부 등 정부 부처들이 합동으로 발표한 이번 방안에서 정부는 내년에만 1조원을 들여서 데이터 관련 경제를 활성화하고 데이터 관련 전문 인재를 5만명을 양성하기로 하는 등 공격적인 정책을 발표한 바 있다.
앞으로 인력시장에서 데이터분야 전문인력의 수요는 폭증할 것으로 예상된다. 데이터전문가는 데이터의 공유를 위해 데이터를 수집, 분석, 설계, 보존하는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보유한 사람으로서, 관련 직업도 데이터 사이언스 분야 관련 직업군에 해당하는 소셜 인포메틱스(social informatics), 빅데이터, 의료·건강 인포메틱스 (medical & health informatics), 데이터 큐레이션(data curation), UX(user experience) 엔지니어링 등 다양하다.
정부정책에 맞추어 대학들도 발빠르게 움직이고 있다.과학기술정통부는 올해부터 최대 10년간 190억원을 지원하는 ‘AI 전문대학원’에 KAIST(한국과학기술원), 고려대, 성균관대 등 3개 대학을 선정했다. 12곳의 대학이 신청해 4대1 경쟁률을 나타냈다.
데이터사이언스 분야의 전문대학원 설립도 주목을 받고 있다. 교육부는 지난 9월10일 2020학년도 전문대학원 신설 최종 심사 결과 서울대 데이터사이언스대학원과 인하대 제조혁신전문대학원이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서울대 데이터사이언스대학원은 여러 학문의 기초로 떠오르고 있는 데이터과학* 분야의 석・박사 교육과정(석사과정 40명 / 박사과정 15명)을 개설해,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는 융합형 인재를 양성할 계획이다. 여기서 말하는 데이터 과학이란 대규모 데이터로부터 과학적 방법론, 알고리즘, 시스템 등을 통해 지식 또는 통찰을 얻어 다양한 응용에 적용하고자 하는 융합 학문을 말한다.
학부에서도 데이터사이언스 관련 학과 개설이 앞다투어 일어나고 있다. 성균관대는 세계 최고 수준의 데이터 전문가 (Data Scientist)양성을 목표로 하는 데이터사이언스전공을 새롭게 개설했다. 아주대학과 세종대학도 학부에 데이터사이언스학과와 전공을 새롭게 개설해 발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새로운 데이터경제 시대에 맞추어 우리대학도 데이터사이언스 분야에 많은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이 분야는 관련된 인접 분야에 긍정적인 영향을 가져다 준다. 데이터사이언스 전공이나 전문대학원이 개설되면, 전산학, 통계학, 수학, 미디어커뮤니케이션 등 여러 학문과 시너지를 얻을 수도 있다. 새로운 학과나 대학원 개설이 당장 쉽지 않다면, 다수의 전공에서 데이터분석 관련 과목을 개설하는 노력도 필요하다.
미래의 가치는 데이터 채굴로 부터 나온다. 데이터분석에 필요한 인재의 수요는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우리대학의 경쟁력을 위해서 이 분야에 대한 보다 공격적인 정책이 요구된다.
건대신문사 kkpress@hanmail.net
<저작권자 © 건대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추천 수 |
---|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