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U 미디어

교내 건대신문,학원방송국,영자신문에서 발행하는 다양한 콘텐츠를 열람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본 게시판에 올라오는 모든 게시글에 대해 무단 복제 및 전제를 금합니다.

이촌 향도의 선두에 선 청년들

‘서울 공화국’이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서울에는 대한민국의 정치·경제·문화·교육 등 모든 기능이 집중돼 있다. 서울의 성장과 동시에 경기도와 인천을 포함한 수도권이 형성됐다. 수도권으로 인구가 몰리기 시작한 것은 1962년 ‘제1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의 시행부터였다. 정부는 균형 개발보다는 성장거점개발전략을 선택해 수도 서울을 비롯한 경부축 대도시에 집중투자했다. 농업 중심에서 공업 중심으로 산업구조가 바뀌고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촌락의 인구가 일자리를 찾아 도시로 이동하는 ‘이촌 향도’ 현상이 발생했다.

우리 대학 지리학과 최재헌 교수는 “7~80년대 이촌 향도 현상에 있어서 선두에선 세대들이 가정의 장녀, 장남과 같은 청년 세대였다”며 수도권 집중 현상에서 청년 세대가 핵심적 역할을 해왔음을 강조했다. 2018년 20~29세 1인 순이동자수를 보면 서울에 3만9,341명, 경기도에 2만7,395명이 유입됐다. 이외에 20~29세 인구가 유입된 곳은 △인천(630명) △세종(4,778명) △제주도(145명)뿐이다. 나머지 지역은 모두 (–)의 수치로 20~29세 인구가 유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경기도는 모든 연령의 인구가 순유입됐지만 서울과 인천은 다른 세대보다 20~29세 인구의 유입이 두드러지게 많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지방 거주 구직자 45% “지방, 취업·채용 인프라 부족해”

20대의 청년 세대들이 느끼는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가장 큰 차이는 ‘기회’의 차이다. 구인구직 사이트 ‘잡코리아’에 올라온 채용공고를 지역별로 분석한 결과 전체 104,074건의 채용공고(9월 29일 기준) 중 서울지역의 채용공고는 44,388건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체 채용공고의 개수의 약 43%에 달하는 수치였다. 서울특별시 다음으로 △경기도(28,368건) △인천광역시(7,082건) △부산광역시(3,699건) 순으로 채용공고가 수도권에 집중된 것을 볼 수 있었다.

11017_12728_2355.png
'잡코리아'에 게시된 채용공고를 지역별로 분석한 결과 /출처 잡코리아

이로 인해 지방에 거주하거나 지방대학을 졸업한 신입직 취업준비생은 구직활동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잡코리아’가 지난 9월 지방 거주 구직자 503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지방 거주 구직자의 45.5%가 ‘거주 중인 지역에 취업·채용 인프라가 부족하다’고 답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방 거주 구직자들이 꼽은 가장 부족하다고 생각되는 인프라는 ‘취업, 채용박람회’로 복수 선택 응답률 44.5%로 1위에 올랐다. 다음으로 ‘대외활동 및 인턴 기회(41.0%)’와 ‘기업 면접비 등 금전적 지원(38.9%)’ 등이 부족하다는 답변(*복수 응답)이 이어졌다. 상위권 대학교가 대부분 수도권에 집중돼 있을 뿐만 아니라 취업하기 위한 각종 자격증 학원, 심지어 공무원을 준비하기 위한 학원들 모두 수도권 대도시에 몰려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비수도권에서 취업을 준비하기 힘든 것이 현실이다.

대학진학을 위해 태백에서 서울로 이동한 전세정(공과대·소웨17)학우는 “태백에는 서울처럼 직업의 기회가 다양하지 않다”며 “주변엔 모두 자영업이나 공무원에 종사하는 사람밖에 없어 회사원이라는 직업조차 매력적으로 느껴지기도 했다”고 밝혔다. 또한 “IT기업이 대부분 서울에 몰려있어 전공을 살리기 위해 서울에서 직장을 구할 수밖에 없을 것 같다”고 전했다.

 

질 높은 일자리, 수도권에 집중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임금 차이도 존재한다. 지난해 한국노동경제학회에서 발행한 한국노동경제논집 6월호에 비수도권에서 수도권으로 직장을 옮겼을 경우 첫 직장 임금대비 약 9.5~10.3%의 임금상승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실렸다. 이 연구에서는 비수도권과 수도권 대졸 취업자의 첫 직장과 각각 수도권, 비수도권으로 이직했을 때의 임금 차이를 비교했다. 특히, 비수도권에서 수도권으로 이주했을 때와 달리 수도권에서 비수도권으로 직장을 옮겼을 때는 임금상승의 효과가 없었다는 점에서 임금 격차가 수도권으로의 이동의 하나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한국고용정보원에서 발간한 ‘지역고용동향 브리프 2019’ 봄호에서는 지역별 취업자의 소득과 학력, 숙련도를 고려해 ‘지역 일자리 질 지수’를 산출했다. 이 자료에서 ‘지역 일자리 질 지수’의 상위 집단(일자리 질 지수가 1 이상인 지역) 39개 중 수도권 지역 32개가 포함돼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전체 상위 집단의 82.05%에 해당하는 수치이다. 특히 상위 집단에는 서울시의 25개의 행정자치구 중 17개가 포함돼 있었다. 하위지역(일자리 질 지수가 –1 미만인 지역)과 중하위지역(일자리 질 지수가 –1 이상 0 미만인 지역)으로 분류된 지역들은 주로 광역시의 구나 비수도권 도지역의 시부 및 군부가 포함됐다.

11017_12729_2719.png
시군구 수준의 지역 일자리 질 지수 상위 리스트 /출처 지역고용동향 브리프 2019 봄호

한국고용정보원 이상호 지역 일자리지원팀장은 “일자리 질을 포함한 사회 경제적 계층 분포는 수도권 도시지역 및 지방 대도시를 중심으로 상위 계층들이 집중돼 있음을 통계적 수치로 확인했다”며 “양질의 도시 인프라가 자녀에게 대물림되면서 세대가 계층이동성을 약화시킬 경우, 노동시장의 공간적 분단으로 인해 사회통합이 저해되고 도시의 지속가능한 발전, 더 나아가서는 사회 전체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협하는 ‘새로운 도시 위기’로 나아갈 수 있다”고 지적했다.

 

지속성 있는 지방 균형 개발정책 필요해

세종특별자치시(이하 세종시) 조성은 지역 균형 개발정책에 대표적 사례로 볼 수 있다. 세종시는 2010년 ‘세종시 설치 등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2019년까지 총 57개의 중앙행정기관과 정부출연연구기관이 이전했다. 하지만 세종시가 수도권 인구분산 효과에 큰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있다. 세종시의 2018년 인구 유입비율을 지역별로 분석해 보면 수도권에서의 유입인구 비율은 24.3%인 반면, 충청권 유입인구 비율은 60.2%이다. 수도권 인구 유입비율은 2013년 37.7%로 최고수치를 보였다. 계속 하락하는 추세이다. 따라서 수도권 인구분산 효과보다는 또 다른 중심주의를 형성하고 있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이처럼 세종시를 비롯한 여러 지방 혁신도시들이 수도권 인구분산에는 뚜렷한 효과를 보지 못한 실정이다. 최재헌 교수는 “장기적으로 지속성 있는 정책이 아니라 선거 위주의 정책이 시행되기 때문에 지속성과 일관성, 공무원의 전문성이 떨어지는 것이 우리나라 지역 균형 개발 정책의 문제점이다”라며 “장기적인 계획과 함께 무엇이 사람들이 그 지역에 살게 하는지, 주민과 대학, 기업이 지역에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즉, 장소적 속성을 고려하는 미시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전했다.

 

 

어윤지 기자  yunji0512@konkuk.ac.kr

<저작권자 © 건대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0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Prev 1 8 9 10 11 12 13 14 15 16 17 83 Next
/ 83
/ 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