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통일인문학? 그래, 통일인문학!
출처 홍보실 |
과연 ‘통일’은 오늘날 우리 한국인들에게 어떤 의미일까? 이제 생존자가 많지 않은 실향민들에게 떠나온 고향을 다시 밟아 보는 것일 수 있고, 이산가족에게는 헤어진 가족을 다시 만나는 일 일지도 모른다. 또한 기성세대는 오랜 시간 동안 들어왔듯이 ‘민족적 염원’이라는 수식어로 설명을 시작하는 사람들이 많을 테고, 입대를 앞둔 남학생들에게 통일은 군대 가는 걱정을 안 하게 해주는 대사건으로 다가올지도 모르겠다. 또 다른 누구에게는 희뿌연 희망이나 환희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막막한 걱정이나 불안감이 느껴지는 일일지도 모른다. 이처럼 ‘당신에게 통일은 무엇이냐’는 질문의 답변은 어떤 ‘정답’으로 머물러 있지 않다. 통일은 둘로 갈라진 것을 그저 ‘하나’로 만드는, 딱딱하고 온기 없는 어떤 ‘개념’일 수 없다. 그 대답은 저마다 다를 수밖에 없고 그 단어를 통해 전망하는 우리의 미래 모습도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금 우리에게 통일은 열려 있는 ‘상상력의 주머니’다. 1945년 한반도의 땅이 분단된 후 74년, 3년 동안의 참혹한 전쟁이 중단되고 66년이라는 아픈 세월이 지났다. 그리고 2018년 판문점에서부터 한반도에 다시 ‘봄바람’이 불어오기 시작했고, 며칠전인 2월 28일 베트남에서 제2차 북미정상회담이 열렸다. 이제 통일에 대해 더 깊고 넓게 상상해보기 위해 질문을 조금 바꿔보자. 그렇다면 ‘분단’은 오늘날 우리에게 어떤 의미일까?
오랫동안 많은 사람들에게 분단의 문제는 굳이 해결하지 않아도 크게 불편함을 못느끼는 한반도의 정치적 조건일 뿐이었다. 또한 ‘나’의 실존과는 어떤 관련이 없어서 그저 정치인들이나 시간이 흐르면 저절로 해결될 문제로 이해되기도 했다. 분단체제에서만 살아왔기 때문에 적대적인 남북분단 상황이 한반도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어떻게 자유로운 삶과 상상력을 제한하고 사회적 금기를 만들어온 ‘걸림돌’이었는지 돌이켜보는 것은 쉽지 않다. 하지만 ‘분단 너머’의 세계를 상상하는 것은 더 많은 사람들이, 더 사람답게 살 수 있는 세계를 이 땅에 만들어가는 역사적 계기에 동참하는 것일 수 있다. 이렇듯 통일은 분단이 우리의 인식과 감성에 아로새긴 굴레에 대해, 즉 ‘사람’과 ‘삶’의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사유할 때 그 의미가 더욱 풍부해질 수 있다.
그렇다면 통일에 대한 연구나 상상은 인간다움의 가치와 의미를 탐구하는 ‘인문학’과의 만남을 통해 새로운 지평을 열어갈 수 있을 것이다. 이런 점에 천착하고 건국대학교에 터를 잡고 지난 10년 동안 이 융합학문을 선도적으로 연구한 전문연구기관이 있다. 바로 필자가 소속된 통일인문학연구단이다. ‘통일인문학’은 구체적인 사람의 문제와 일상의 생활문화를 중심으로 통일문제를 다채롭게 펼쳐내고 있다. 인문학의 눈으로 들여다 본 통일학은 정치·체제·이념·경제·제도·국가 중심의 통일이 가진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코리언’의 이름으로 뒤섞이고 함께 살아갈 사람들의 사회문화적 통합을 먼저 준비하고 있다. 이처럼 통일인문학은 분단 현실을 비판적으로 성찰하면서 이질적인 사람끼리 조화롭게 사는 사람의 통일을 성찰하는 학문이다.
통일인문학은 ‘소통, 치유, 통합’의 인문 패러다임을 추구한다. 소통의 패러다임은 남북이 내면화한 서로에 대한 적대성을 극복하고 ‘함께 가르치고 배우는’ 대화의 자세를 전면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치유의 패러다임은 역사적 상처가 남긴 아픔을 보듬으며 일상적 삶 속에서 내면화해왔던 원한과 증오를 극복해나가는 것을 의미한다. 통합의 패러다임은 과거에 존재했던 민족적 동질성의 회복이 아니라, 코리언의 교류와 상호존중을 통해 새로운 민족적 공통성을 창출해나가는 과정을 말한다. 독일통일이 남긴 위대한 교훈이 있다면, 그것은 사회문화적 통합을 추구하는 ‘사람의 통일’이 장기적으로 더욱 중요하다는 점이었다. 정치·경제, 이념·체제 중심의 통일이 요청하는 것은 결국 구성원들 사이의 가치·정서·문화적 측면의 소통-치유-통합이었다는 것이 바로 통일 이후 독일의 모습이었기 때문이다.
통일인문학연구단은 이런 문제의식을 갖고 건국대 학생들과 더욱 활발하게 만날 계획을 세우고 있다. 그동안 2014년 개설된 일반대학원 ‘통일인문학과’, 2018년 개설된 교육대학원 ‘통일교육전공’, 이번 학기부터는 문과대학 연계전공 ‘통일인문교육’이 문을 열었다. 80여 권에 이르는 발간도서가 보여 주듯이 그동안 축적된 통일인문학의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기존과는 다른 방식의 통일평화교육이 학생들을 기다리고 있다. 이제 통일인문학은 여러분들을 만나러 가고 있다.
박민철 교수 통일인문학연구단 HK. 대학원 통일인문학과 |
박민철 교수 (통일인문학연구단 HK.) kkpress@hanmail.net
<저작권자 © 건대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페이지에서는 글 작성이 불가능하니 개별 게시판에서 작성해 주세요.
번호 | 게시판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
---|---|---|---|---|---|
12165 | KU 미디어 | [보도]내년도 우리 대학 입시제도, 많은 변화 이뤄져 | 건대신문 | 19.04.07 | 787 |
12164 | 리뷰게시판 | 마라탕은 라화쿵부 마라샹궈는 매운향솥 [4] | 사또밥 | 19.04.06 | 375 |
12163 | 리뷰게시판 | [돼학생활] 그대들은 아는가? 후문 맛집?!! [7] | 돼학생활 | 19.04.01 | 680 |
12162 | 리뷰게시판 | 렌트 싸게하는 법 알려드려요! [1] | z크르르릉 | 19.03.25 | 592 |
12161 | 리뷰게시판 | 오이도 조개구이집 추천합니다! | z크르르릉 | 19.03.25 | 205 |
12160 | 리뷰게시판 | 건우건희 | 적절한 쇠왕부리 | 19.03.19 | 166 |
12159 | 리뷰게시판 | 카레당후기 [3] | 무심한 노란배딱새 | 19.03.18 | 219 |
12158 | 리뷰게시판 | 킬커버 후기 | 무심한 노란배딱새 | 19.03.18 | 103 |
12157 | KU 미디어 | [여행]겨울이 싫다면 따뜻한 ‘아랍에미리트’로 [4] | 건대신문 | 19.03.16 | 1430 |
12156 | KU 미디어 | [사설]학생 장학제도 좀 더 신중한 운영 필요 [3] | 건대신문 | 19.03.16 | 1139 |
12155 | KU 미디어 | [사설]숙제를 충실히 하는 삶 [4] | 건대신문 | 19.03.16 | 1195 |
12154 | KU 미디어 | [칼럼]악기를 다룬다는 것 [2] | 건대신문 | 19.03.16 | 1489 |
12153 | KU 미디어 | [칼럼]3·1혁명 100년과 ‘건국’의 뜻 [1] | 건대신문 | 19.03.16 | 1150 |
12152 | KU 미디어 | [만평] [1] | 건대신문 | 19.03.16 | 1253 |
12151 | KU 미디어 | [칼럼]진심 어린 사과가 필요하다 | 건대신문 | 19.03.16 | 1158 |
12150 | KU 미디어 | [칼럼]처음엔 다 그래 | 건대신문 | 19.03.16 | 1246 |
12149 | KU 미디어 | [칼럼]“지금 마주하고 있는 직원은 고객님의 가족 중 한 사람일 수 있습니다” | 건대신문 | 19.03.16 | 1960 |
12148 | KU 미디어 | [시사]조선인의 절규, 세계인의 시선 | 건대신문 | 19.03.16 | 929 |
12147 | KU 미디어 | [학술]최재헌 교수의 세계유산이야기 - ④ 한반도의 지리적 환경과 세계유산 [1] | 건대신문 | 19.03.16 | 1065 |
12146 | 커뮤니티 | [학술]통일인문학? 그래, 통일인문학! | 건대신문 | 19.03.16 | 986 |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