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12.23 19:59

[칼럼]무지의 특권

조회 수 1467 추천 수 0 댓글 1

 

10393_12489_5745.jpg
이준규 문화부장

「전체주의의 기원」에서 한나 아렌트는 우리에게 사회적 관심을 촉구한다. 공동체에 무관심해질수록 사회적으론 독재자가 탄생하고 개인적으로는 인간다운 삶을 빼앗기기 때문이다. 그런데 갈수록 어지러운 사회를 보며 지금 사람들은 정치를 혐오하고 타인을 위해 나서길 망설인다. 굳이 자신이 직면하긴 껄끄럽고 부담스러우니 대중사회 속에 자연스럽게 파묻혀 흘러간다. 당장 내게 불편한 문제는 없으니까 더 이상 관심을 가질 필요는 없다. 모르니까 그렇다는 간단한 생각이다. 무관심은 이렇게 탄생하나 보다.

대다수 사람들은 국적으로 고통 받진 않는다. 인종 차별도 본인이 속한 사회에서 소수인종이 아니라면 겪을 일은 드물다. 더군다나 성별이나 장애로 불평등을 당하는 일은 더 이상 숨길 문제가 아니다. 하지만 나치 정권을 목도한 유대인 여성 이민자로서 살아간 한나 아렌트에겐 모두가 현실적 문제로 다가왔다. 그렇게 그녀는 직접 문제들을 체험했기에 관심을 잃지 못했다. 하지만 나는 아니다. 기껏해야 친구와 용돈이나 시간이 부족함을 비교하며 불편함을 느낀다. 우리는 각자가 서로 다른 환경 속에서 살아가니 당연히 모두가 똑같은 경험을 공유하고 인식하긴 불가능하다. 그렇다면 내가 겪지도 알지도 못할 사회 문제들이 내게 무슨 책임이고 상관이 있는가. 하지만 무지도 특권이었다. 겪지 않아서 몰랐단 상황 자체가 차별과 고통에 면역된 특별한 기회가 주는 혜택이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무지는 내 무관심을 떳떳하게 대변해주는 면죄부가 아닌 특권에 갇혀 사회를 무관심으로 병들게 하는 원인에 불가하다.

사실 ‘무지의 특권’이란 말을 듣기 전까진 나도 무지로 책임을 지우기에만 급급했다. 특히 내가 차별받지 않고 폭력에 노출되지 않았기에 몰랐다고 인정하는 과정은 불편한 경험에 가깝다. 하지만 무관심이란 사회적 질병을 극복하기 위해서, 무지의 정당화를 포기하는 과정은 인내해야할 고통이다. 한나 아렌트가 다중적인 차별과 문제들에 직면하여 행동한 것처럼 우리도 인간다움을 포기한 채 사회에 떠맡기는 대신 관심을 지켜야하기 때문이다. 그녀뿐만이 아니다. 수많은 사람들이 역사 속에서 불편함을 외면하지 않고 무관심을 극복하여 만들어낸 지금 세상이다. 하지만 세상은 여전히 내가 대부분 모르는 수많은 폭력에 겹쳐진 채 노출된 장소이다.

그렇기에 사회가 모두 무관심하다고 더군다나 나는 겪지 않아 몰랐으니 괜찮다고 치부해버리는 태도는 아쉽다. 한나 아렌트가 말하던 독재자들이나 아이히만 같이 대중성 또는 평범함을 가장한 악마와 방관자들은 여전히 존재할지도 모른다. 지금 현시대에도 그대로 수많은 폭력과 차별이 우리들 무관심한 품속에서 탄생하고 있다. 꼭 무관심이 불러온 결과를 이웃나라 독재자나 머나먼 외국에서 발생했던 학살처럼 멀찍한 이야기에서만 찾아볼 필요도 없다. 지금 우리 집안의 가족이나 매일같이 살아가는 동네와 학교 근처에서 벌어지는 어쩌면 어머니와 경비아저씨나 학우들의 이야기일지도 모른다. 그러니까 조금만 더 관심을 가져보자. 더 이상 몰라서 그랬다는 통하지 않는다. 내가 몰랐던 이야기를 알아가며 변화는 시작된다. 그렇게 한나 아렌트가 우리에게 촉구했던 목소리는 아직 끝나지 않은 채 지금도 여전히 울려간다.

 

이준규 문화부장  ljk223@konkuk.ac.kr

<저작권자 © 건대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커뮤니티
커뮤니티메뉴에 있는 게시판들의 모든 글이 자동으로 등록됩니다.
본 페이지에서는 글 작성이 불가능하니 개별 게시판에서 작성해 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게시판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806 KU 미디어 [건국史 ③] - 상허 유석창 박사 [5] file ABS 16.11.07 1798
805 KU 미디어 [대담④] [3] file ABS 16.11.07 1529
804 청심대 일상 영화리뷰 025. 무한대를 본 남자 (2016) 깔끔한 호주물개 16.11.05 142
803 건대교지 [카드뉴스] 쉬고 있는 휴게실, 쉴 곳 잃은 학생 [15] file 건대교지 16.11.05 10396
802 건대교지 [카드뉴스] 제주도 해녀, 세상을 헤엄치다. [18] file 건대교지 16.11.05 10948
801 KU 미디어 [보도]또 터진 학과 내 성희롱 사건…학우들 본부에 후속조치 촉구 [5] 건대신문 16.11.03 2761
800 KU 미디어 [보도]최순실 게이트에 학우들 발끈, "박근혜 정부는 민주주의 파괴자&... [6] 건대신문 16.11.03 2264
799 분실물찾기 지갑찾습니다ㅠㅠ 듀비듀빱빠 16.11.03 103
798 KU 미디어 [Cartoon] Homogeneous Fault, Heterogeneous Assault! [16] file 영자신문 16.11.01 2754
797 KU 미디어 [Interview] What Is Design for All? [16] file 영자신문 16.11.01 3028
796 동아리 모집 [필독] 제목 양식 -> ([중앙동아리] or [OO단과대 동아리] or [OO과 동아... 운영지원팀장 16.11.01 185
795 청심대 일상 건대 주변 맥주집 추천 [16] 북극고옴 16.10.30 1004
794 동아리 모집 [중앙동아리] 건국대 대중음악창작동아리 소리나래에서 신입부원을 모집합니다! file ㅈㄷㅇㄵㄹ 16.10.30 289
793 청심대 일상 영화리뷰 024. 닥터 스트레인지 (2016) [9] 김노인의영화리뷰 16.10.29 185
792 건대교지 [카드뉴스] 우리의 시국선언 [20] file 건대교지 16.10.28 10803
791 건대교지 [카드뉴스] 물대포, 제가 한번 맞아보겠습니다. [24] file 건대교지 16.10.28 10682
790 건대교지 [카드뉴스] 오버워치 이야기 [27] file 건대교지 16.10.28 12078
789 분실물찾기 경영관 은색 ck시계 사례금 [3] 애매한 동박새 16.10.28 190
788 분실물찾기 경영관 은색 ck시계 사례금 애매한 동박새 16.10.28 104
787 분실물찾기 회색후드티와 지갑 김아저씨 16.10.26 93
목록
Board Pagination ‹ Prev 1 ...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 129 Next ›
/ 129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