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1508 추천 수 0 댓글 0

문화콘텐츠학과 이병민 교수

 

10257_12426_3924.jpg
이병민 문화콘텐츠학과 교수

홍대는 건대와 비롯해 젊음과 낭만의 대학가 거리로 손꼽히는 장소 중 하나이다. 이번 건대신문에서는 얼마 전 ‘서울의 공간 경제학’ 책을 발간하신 이병민 문화콘텐츠학과 교수님의 목소리를 듣고 학우들과 함께 자유로움과 청춘의 거리 홍대를 ‘공간 경제학’이라는 새로운 틀로 바라보고자 한다.

 

이른바 ‘홍대앞’ 이라고 이야기되는 홍대 지역은 시대에 따라 많은 변화를 겪어 온 곳이다. 특히 문화를 기반으로 한 장소성 변화가 최근 젠트리피케이션 현상과 더불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으며 다양한 ‘취향’ 공간으로서 이해당사자들의 욕망과 문화가 표출되는지역으로 발돋움했다.

10257_12427_4019.jpg
서울의 공간 경제학 (이병민 교수 저)

1990년대 홍익대를 중심으로 인디음악의 메카와 클럽문화의 조성을 토대로 변화가 이루어졌고 2010년대 이후에는 경의선 숲길 조성, 공항철도, 경의중앙선의 개통으로 홍대상권의 변화가 일어나며, 젠트리피케이션과 같은 문화-상업화의 갈등 요소도 나타났고 여러 특성이 혼재되어 나타났다. 예컨대 홍대입구역과 홍대 일대 문화예술공간은 클럽과 레스토랑, 카페 등 다양한 경관이 공존하며 인디문화에 대한 새로운 장소성을 창출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홍대의 특징은 인디뮤지션을 중심으로 한 자생적 하위문화의 중심지임은 물론, 클럽을 중심으로 한 주한 외국인의 문화 중심지로 알려져 왔다. 2000년대에 들어서고는 한류를 중심으로 외국 관광객 유치를 위한 정부 주도 문화정책이 시행된 지역이기도 하다. 이와 같은 홍대의 문화소비공간 확산은 인근 지역을 재활성화 한다는 순기능도 있지만, 재활성화현상이 가속화되면서 높아진 임대료를 감당하지 못하고 초기 변화의 주체자와 거주민은 탈각되고 장소성을 상실하는 과정이 반복되는 문제를 야기하며 젠트리피케이션 문제지역으로 대두되기도 했다.

이러한 이해를 토대로 홍대앞의 장소적 특성을 고려하면, 홍대 문화예술공간, 특히 클럽공간과 놀이터 등 장소성의 역사가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특징과 어우러져, 현재의 일상생활과 상업·산업의 구성과 특성을 통시적으로 요구한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주변공간의 정체와 발전, 홍대 문화예술공간의 젠트리피케이션, 변화를 둘러싼 이해관계자들의 역할변화, 문화와 산업, 산업의 관계망 등 사회·문화적 특성의 입체적 이해를 기반으로 한 장소의 이해가 필요할 것이다.

카페로 인한 상업문화의 범람은 한편으로는 홍대 인디 문화의 주체들이 일군 문화적 정체성에 대해 자본이 장소를 압박하고 전유를 시도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를 통해 드러난 젠트리피케이션은 공간의 정체성을 자본이 훔쳐내는 한 사례로 인식하게 만들고, 상업자본을 배격하려는 움직임들을 자극한다. 이에 따라 홍대앞 문화공간과 장소성 기반 특징의 변화를 잘 읽고 해석해야 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담론과 현실사이에서, 위기의 홍대를 인식하고 미래의 홍대에 대해 어떠한 방향성이 필요한지 고민해야 할 시점이다.

 

문화콘텐츠학과 이병민 교수  kkpress@hanmail.net

<저작권자 © 건대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커뮤니티
커뮤니티메뉴에 있는 게시판들의 모든 글이 자동으로 등록됩니다.
본 페이지에서는 글 작성이 불가능하니 개별 게시판에서 작성해 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게시판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186 청심대 일상 경주 찰보리빵 [3] 건국엘리트 17.06.12 124
1185 청심대 일상 토끼정 서울역점 [2] 건국엘리트 17.06.12 281
1184 분실물찾기 지난주에 학관 지하 식당에서 지갑 잃어버리신 분 [5] 넥슬라이스 17.06.12 225
1183 청심대 일상 [MOVIE TODAY] 54번째 영화, 미이라 (2017) [1] 김노인의영화리뷰 17.06.12 131
1182 청심대 일상 [MOVIE TODAY] 53번째 영화, 악녀 (2017) [1] 김노인의영화리뷰 17.06.11 83
1181 KU 미디어 우리 동네 서점엔 00가 있다 00가 있는 서점 6 [31] file 건대신문 17.06.10 4310
1180 KU 미디어 우리는 왜 대학에 왔는가 - 대2병 환자편(4/4) [37] file 건대신문 17.06.10 4435
1179 KU 미디어 스마트폰의 우리의 사고를 바꾸고 있다 [29] file 건대신문 17.06.10 3147
1178 KU 미디어 위로의 소리, 고려 아리랑: 천산의 디바 [24] file 건대신문 17.06.10 2993
1177 청심대 일상 도쿄 빙수 [2] 까리해잉 17.06.10 97
1176 청심대 일상 연어상회~~ [4] 까리해잉 17.06.10 287
1175 청심대 일상 브리또추천 싸늘한 사람 17.06.10 86
1174 건대교지 [카드뉴스] 총학생회 청春어람에게 묻다! 2편 [73] file 건대교지 17.06.09 24344
1173 건대교지 [카드뉴스] 총학생회 청春어람에게 묻다! 1편 [57] file 건대교지 17.06.09 16143
1172 KU 미디어 진단: 우리대학 비정규직 청소노동자의 현실 [26] file 건대신문 17.06.08 4115
1171 KU 미디어 청春어람은 청출어람을 했는가 -제 49대 총학생회 청春어람 공약 점검 [20] 건대신문 17.06.08 4122
1170 KU 미디어 2017 상반기 전체동아리대표자회의 열려 [21] 건대신문 17.06.08 3504
1169 KU 미디어 미리 가 본 대학생활, 고교생 대상 전공안내 프로그램 열려 [26] 건대신문 17.06.08 3780
1168 KU 미디어 ‘교육을 위한 보육’ 대학교 직장 내 어린이집 설치 미이행률 30%, 우리대학... [27] 건대신문 17.06.08 3351
1167 KU 미디어 1학기 강의평가 6월 8일부터 3주간 진행 [26] 건대신문 17.06.08 2780
목록
Board Pagination ‹ Prev 1 ...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 129 Next ›
/ 129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