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1527 추천 수 0 댓글 1

 

‘배화여고 6인’. 평소 다양한 플랫폼의 뉴스를 즐겨본다면, 하다못해 광복절 날 포털사이트에 들어가 보았다면 한 번 쯤은 읽어봤을 타이틀이다. 일제의 삼엄한 경계 속에서 3·1운동 1주년을 맞아 독립을 외치다 옥에 갇혔던 그들이 독립운동가로서 진정으로 인정받은 해는 2018년, 무려 98년 만이다. 솔직히 이 글을 쓰는 나 역시 이들의 존재를 알지 못했다. 물론 내가 역사에 무지한 것일 수도 있지만 이들이 다른 독립 운동가들에 비해 조명을 받지 못한 건 사실이다. 98년 간 조용히 역사를 빛낸 이 6인의 독립 운동가들은 모두 공교롭게도 여성이다.

 

정부에 따르면 지난 2015년을 기준으로 찾아낸 여성 독립 운동가는 약 1900여 명에 달한다. 그러나 우리가 위인전에서, TV프로그램에서, 일상 속에서 다루고 있는 독립운동가들 중에 여성 독립 운동가들은 몇 분이나 될까. 가장 많이 언급되는 분이자 모두가 알고 있다고 단언할 수 있는 분은 아마 유관순 열사 한 분일 것이다. 심지어 교과서에 기재된 독립운동가 중 여성 독립 운동가는 유관순 열사 딱 한 분 만이 기재되어 있다. 앞으로 우리나라의 역사를 이어나갈 학생들에게 이는 다소 편협한 지식 습득으로 이어지는 문제를 자아낼 것이다. 이렇게까지 여성독립운동가의 역사가 발굴되지 못한 것에 대해 전문가들은 우리나라가 오랫동안 머물러있던 남성 중심적 역사관과 우리의 무관심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그들의 ‘무관심’이라는 단어에 사실 나 자신부터가 뒤통수가 따끔했다. 일전의 나를 돌아보자면 입시 성공을 위해서 한국사를 공부했지 순수하게 역사를 알아보자 하는 생각은 아니었다. 영화 ‘암살’을 보고 전지현에 감탄하면서 그의 실존 인물 남자현 의사의 업적을 뒤늦게야 깨달았다. 그동안 감춰져 있던 1900여 명의 여성 독립 운동가들의 존재에 대해 더 궁금해 하지도 않았고, 성별에 관계없이 발굴되지 못한 이들의 아픔을 알지도 못했다.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 했는데 나는 미래를 꿈꾸면서 그 발판을 잊고 있었다. 광복절이 훌쩍 지나가버린 지금, 다시 역사에 대한 기사는 키워드가 입력되어야 찾을 수 있고 한국사에 가장 열성적인 모습을 보이는 건 아마 수능이 채 100일도 남지 않은 수험생들 일 것이다. 어딘가에 있을 역사‘광’들을 제외하고는. 이러다가 어쩌면 다시 이 문제에 대해 고찰해볼 시기를 놓치게 될 수 도 있을지 모른다.

 

얼굴을 보지도 못할 후손들을 위해 불굴의 의지로 나라를 지켜내신 수많은 분들의 노고를 1년에 단 하루, 광복절에만 관심을 가지는 것은 미래인으로서 올바르지 못한 태도이다. “묻혀진 독립운동사와 독립운동가의 완전한 발굴이야말로 또 하나의 광복의 완성이다”는 정부의 말과 같이, 그들에 대한 꾸준한 관심과 발견은 우리나라의 빛나는 성장에 밑거름이 될 것이다. 꽤나 오랫동안 묻혀있던 1900여명의 여성 독립 운동가들의 용감한 투사에 제대로 주목하지 못했던 지난날을 반성하고, 이 글을 접한 사람이라면 지금 당장 여성 독립 운동가를 포털 사이트에 검색해보는 건 어떨지.

 

장예빈 기자  dpqls18@konkuk.ac.kr

<저작권자 © 건대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커뮤니티
커뮤니티메뉴에 있는 게시판들의 모든 글이 자동으로 등록됩니다.
본 페이지에서는 글 작성이 불가능하니 개별 게시판에서 작성해 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게시판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586 청심대 일상 메리의 마녀의 꽃 후기 ! [1] 완쥬콩 17.12.08 106
1585 청심대 일상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 [3] 고나비 17.12.08 44
1584 KU 미디어 [보도]제50대 총학생회 <利:action> 인터뷰 [11] 건대신문 17.12.07 3129
1583 KU 미디어 [보도]'프라임인문학’으로 융합인재 양성, 산학협력 행사 열어 [12] 건대신문 17.12.07 2153
1582 KU 미디어 [보도]“수강인원 과다·시설 노후·교과 다양성 부족···”재학생 교육만족도 향... [8] 건대신문 17.12.07 2453
1581 KU 미디어 [보도]학사구조개편 어디까지 왔나? [10] 건대신문 17.12.07 2899
1580 KU 미디어 [보도]'드론산업 인재육성' 국내대학 최초 드론경진대회 개최 [10] 건대신문 17.12.07 2784
1579 KU 미디어 [보도]대리지급 학생회 활동장학 전수조사하기로 [12] 건대신문 17.12.07 2820
1578 KU 미디어 [보도] 제49대 총학생회 <청春어람> 결산 [14] 건대신문 17.12.07 2977
1577 청심대 일상 New hope club - Water [2] 통학지겨워 17.12.04 77
1576 청심대 일상 또바치킨 후기 [11] rotee 17.12.03 284
1575 KU 미디어 [칼럼]그래도 꼭 투표해야 하는 이유 [17] 건대신문 17.12.02 3134
1574 KU 미디어 [문화]캠퍼스에 이런 문화재 건물이 있는 것 알고 계셨나요? [20] 건대신문 17.12.02 3112
1573 건대교지 [카드뉴스] 포항 지진 발생 - 더 이상 안전지대가 아닌 한반도 [29] file 건대교지 17.12.01 9749
1572 KU 미디어 [카드뉴스]선택 2018, 장안벌의 선택 [14] file 건대신문 17.11.30 4565
1571 KU 미디어 [보도]올해 5급 공채 7명 합격, 전국 8위 [11] 건대신문 17.11.30 3188
1570 KU 미디어 [보도]수강신청, 장학금 공방… 핵심은 학우와의 ‘소통’ [9] 건대신문 17.11.30 3124
1569 KU 미디어 [보도]<그대곁에> “인권·문화 책임지고 학우 보듬겠다” VS <利: ac... [13] 건대신문 17.11.30 2420
1568 KU 미디어 [보도]치열한 ‘자질공방’속 학우들의 선택은… [8] 건대신문 17.11.30 2456
1567 KU 미디어 [보도]제 50대 총학생회 선거 <利:action>선본 당선, 득표율 63% [10] 건대신문 17.11.30 4097
목록
Board Pagination ‹ Prev 1 ...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 129 Next ›
/ 129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