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06.10 10:22
<쥬라기 월드: 폴른 킹덤>
조회 수 298 추천 수 2 댓글 3
과학기술은 진보한다. 이제는 진보보다는 진화에 가깝게, 경이로운 수준으로 스스로의 지경을 넓혀가고 있다. 지금으로부터 20여 년 전, 스티븐 스필버그는 스크린 속에 공룡을 창조해냈다. 나도 어렸을 때 비디오를 통해 <쥬라기 공원>을 보면서 무서워했던 기억이 있다. <쥬라기 공원> 트릴로지는 지난 2015년 새로운 감각으로 부활했다. 3편까지 제작이 예정되어 있는 <쥬라기 월드> 트릴로지와 <쥬라기 공원> 트릴로지가 갖는 공통점은, 영화의 근간이 유전공학에 있다는 거다.
유전공학은 사실 어제오늘의 이야기가 아니다. 선사시대부터 인간은 작물과 작물을, 가축과 가축을 교배해왔다. 이런 작업들이 연구실로 자리를 옮겨가면서 인류는 유전공학을 통해 과거와 미래를 연구하기 시작했다. <쥬라기 공원>과 <쥬라기 월드>는 호박화석에서 DNA를 추출한 뒤 세포를 배양해 생명체로 만드는 기술을 기반으로 한다. 자신이 창조한 공룡을 이용해 테마파크를 만들기까지 한다. 영화에 나타난 유전공학은 멸종한 생명체를 복원하고 이를 통해 생태계 다양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가능성이다. 하지만 유전공학으로 인한 인재의 위험성에 대해 경고하고 있다.
거의 모든 SF 장르 영화는 철학이 없는 과학과 생명의 존엄을 배제한 기술에 대해 경고한다. 사고를 하고 감정을 지닌 개체를 만들 능력은 개인의 욕심을 따라 사용되면서 인재를 야기했다. 물론 영화적 상상력에 의해 짜인 서사라지만, 복제동물을 만드는 현실에서 전혀 불가능한 상상은 아니라고 본다. 과학의 진보는 기술의 진보로 이어지고 진보하는 기술은 언제나 새로운 패러다임을 만들어낸다. 영화 속 말콤의 대사처럼 핵폭탄의 확산을 누가 감히 예측이나 했겠는가.
결론적으로 SF 영화를 통해 우리는 변화하는 현재와 부지불식간에 다가올 미래를 대할 사고의 프레임을 구축해야 한다. 과학적 상상력과 자본주의 속에서 인문학적 소양을 겸비하지 않으면 불가능한 일이겠다. <쥬라기 월드: 폴른 킹덤>은 생명의 존엄과 유전공학이 갖고 있는 위험성에 대해 경고한다. 그 과정에서 ‘공원’은 ‘세계’로 확장되고 인류는 또 다른 전 지구적 재앙을 맞이할 뿐이다.
유전공학은 사실 어제오늘의 이야기가 아니다. 선사시대부터 인간은 작물과 작물을, 가축과 가축을 교배해왔다. 이런 작업들이 연구실로 자리를 옮겨가면서 인류는 유전공학을 통해 과거와 미래를 연구하기 시작했다. <쥬라기 공원>과 <쥬라기 월드>는 호박화석에서 DNA를 추출한 뒤 세포를 배양해 생명체로 만드는 기술을 기반으로 한다. 자신이 창조한 공룡을 이용해 테마파크를 만들기까지 한다. 영화에 나타난 유전공학은 멸종한 생명체를 복원하고 이를 통해 생태계 다양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가능성이다. 하지만 유전공학으로 인한 인재의 위험성에 대해 경고하고 있다.
거의 모든 SF 장르 영화는 철학이 없는 과학과 생명의 존엄을 배제한 기술에 대해 경고한다. 사고를 하고 감정을 지닌 개체를 만들 능력은 개인의 욕심을 따라 사용되면서 인재를 야기했다. 물론 영화적 상상력에 의해 짜인 서사라지만, 복제동물을 만드는 현실에서 전혀 불가능한 상상은 아니라고 본다. 과학의 진보는 기술의 진보로 이어지고 진보하는 기술은 언제나 새로운 패러다임을 만들어낸다. 영화 속 말콤의 대사처럼 핵폭탄의 확산을 누가 감히 예측이나 했겠는가.
결론적으로 SF 영화를 통해 우리는 변화하는 현재와 부지불식간에 다가올 미래를 대할 사고의 프레임을 구축해야 한다. 과학적 상상력과 자본주의 속에서 인문학적 소양을 겸비하지 않으면 불가능한 일이겠다. <쥬라기 월드: 폴른 킹덤>은 생명의 존엄과 유전공학이 갖고 있는 위험성에 대해 경고한다. 그 과정에서 ‘공원’은 ‘세계’로 확장되고 인류는 또 다른 전 지구적 재앙을 맞이할 뿐이다.
-
?
잘읽었어요.
-
?
잘 읽었어요
-
?
잘 읽었어요
커뮤니티
커뮤니티메뉴에 있는 게시판들의 모든 글이 자동으로 등록됩니다.
본 페이지에서는 글 작성이 불가능하니 개별 게시판에서 작성해 주세요.
본 페이지에서는 글 작성이 불가능하니 개별 게시판에서 작성해 주세요.
번호 | 게시판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
---|---|---|---|---|---|
12085 | 리뷰게시판 | 스카이캐슬 [2] | 신난다재미난다 | 19.01.30 | 134 |
12084 | 리뷰게시판 | 백예린 La La love song [3] | 자상한 호박벌 | 19.01.29 | 337 |
12083 | 리뷰게시판 | 카더가든 she | 초연한 씬벵이류 | 19.01.27 | 148 |
12082 | 리뷰게시판 | 영화 <뺑반> 시사회 이벤트 당첨 후기 [4] | 여행가고싶당 | 19.01.26 | 268 |
12081 | 리뷰게시판 | 극한직업 [1] | 햐니 | 19.01.26 | 99 |
12080 | KU 미디어 | 건국불레틴 Photo 콘테스트에 참여하세요! Why don’t you participate in Th... [11] | 영자신문 | 19.01.20 | 2178 |
12079 | 리뷰게시판 | 중문 롤링파스타 [8] | EEEEEEE휴 | 18.12.28 | 409 |
12078 | 동아리 모집 | [COCOC] 칵테일 팀 코콕, 11기 드디어 모집! | 치수 | 18.12.26 | 185 |
12077 | KU 미디어 | [문화상 시 부문 심사평]통념을 넘어 새로운 인식 | 건대신문 | 18.12.23 | 2040 |
12076 | KU 미디어 | [문화상 웹툰 부문 심사평]공감하며 마음에 위로를 받을법한 | 건대신문 | 18.12.23 | 1943 |
12075 | KU 미디어 | [문화상 소설 부문 심사평]명작이 탄생할 가능성 | 건대신문 | 18.12.23 | 1595 |
12074 | KU 미디어 | [문화상 시 부문 당선소감]어떤 시도 시가 아닐때 | 건대신문 | 18.12.23 | 1854 |
12073 | KU 미디어 | [문화상 시 부문 당선작]반쪽의 증명방법 | 건대신문 | 18.12.23 | 1474 |
12072 | KU 미디어 | [문화상 웹툰 부문 당선소감]날아오르는 배추나비처럼 | 건대신문 | 18.12.23 | 2120 |
12071 | KU 미디어 | [문화상 웹툰 부문 당선작]바다와 나비 | 건대신문 | 18.12.23 | 1643 |
12070 | KU 미디어 | [문화상 소설 부문 당선소감]제 당선소감은 건너뛰셔도 상관없습니다 | 건대신문 | 18.12.23 | 1620 |
12069 | KU 미디어 | [문화상 소설 부문 당선작]파블로프의 초상 | 건대신문 | 18.12.23 | 1671 |
12068 | KU 미디어 | [만평]청심에게 하고 싶은 말 | 건대신문 | 18.12.23 | 1435 |
12067 | KU 미디어 | [칼럼]'몫이 없던 자들'의 외침이 대학가에도 울려 퍼지길! | 건대신문 | 18.12.23 | 1245 |
12066 | KU 미디어 | [사설]사총협의 요구, 일리와 우려가 공존한다 | 건대신문 | 18.12.23 | 978 |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