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1678 추천 수 0 댓글 2

최근, 병원에 갈 일이 많았던 것 같다. 아파서 가기도 했고, 지인 분 병문안 차 들리기도 했다. 우리는 이렇게 병원에 갈 때 환자 분들에게 더 집중한다. 아무래도 그들을 보살피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일 것이다. 그런데 최근 환자들보다 더 눈길이 가는 사람들이 있다. 간호사분들이다. 하루 종일 환자들의 생명을 보호해야하는 책임을 가진 간호사들. 유독 그들에게 눈길이 갔던 이유는 최근에 있었던 신입 간호사의 죽음 때문일 것이다. 더 이상 못 살겠다며 죽음을 선택한 그녀는 늘 간호사를 꿈꿔왔고 설레는 마음으로 간호사가 되었다. 그렇지만 생각과는 달랐던 직장 문화에 충격을 느끼고 스스로 목숨을 끊게 돼버렸다.

 

그녀를 벼랑으로 몰아넣은 문화는 바로 간호사들에게는 유명한 ‘태움 문화’. 이는 ‘영혼이 재가 될 때까지 태운다’는 뜻으로 선배 간호사가 신입을 가혹하게 교육하는 문화를 뜻한다. 이처럼 태움은 교육을 빙자한 폭력이었고 간호사들을 두려움에 떨게 한 것이다. 그들 말에 따르면 온 몸에 멍이 안 든 곳이 없다고 한다. 볼펜에 찔리고 신발에 맞아서. 언어폭력도 상당하다고 한다. 간호사들은 이런 수모를 묵묵히 견뎌야만 했다. 가해자 간호사들을 이 직업이 생명과 밀접하기에 엄하게 가르치는 것이 필수라고 한다. 하지만 엄격을 넘어 잔인하게 가르치는 것은 신입들에겐 오히려 해가 될 뿐일 수도 있다. 그들은 각종 폭력을 합리화하며 악습을 관습이라고 포장하고 있는 것일지도 모른다. 최근 대한간호협회에서 조사한 설문에서도 간호사 약 41%가 ‘괴롭힙을 당한 적이 있다‘라고 대답 한 것을 그냥 지나쳐서는 안 된다. 또한, 간호사 보호를 위한 해결방안이 마련되었음에도 제대로 시행되는 것이 없다는 것도 넘어가서는 안 된다. 그렇게 그들은 태움의 굴레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모든 간호사들이 처음에는 설렘과 사명감을 가졌을 거라고 생각한다. 그렇지만 이런 문화를 겪고 이에 물들어가면서 많은 상처도 받았을 것이다. 피해자가 가해자가 되고 그 가해자가 또 다른 가해자를 옹호하는 문화. “나도 당했어” 라는 말은 “그러니까 너도 참아” 라는 말로 밖에 들리지 않는다. 한 명이 재가 되어야만 벗어날 수 있는 이 문화는 지양되어야한다. 그리고 이것은 비단 그들만의 문제가 아닐 것이다. 사실은 여느 직장에서나 볼 수 있는 괴롭힘 문화다. 이 문제는 결국 우리가 이미 겪고 있고 앞으로 겪을 수 있는 사회적 죽음이다. 그러니 이 문제가 단지 그들만의 문제라고 생각하고 외면하지 말아야 것이다. 그들과 우리는 더 이상 누군가의 태움의 땔감도 재도 되어서는 안 된다.

 

김수정(사과대·행정16)  kkpress@hanmail.net

<저작권자 © 건대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커뮤니티
커뮤니티메뉴에 있는 게시판들의 모든 글이 자동으로 등록됩니다.
본 페이지에서는 글 작성이 불가능하니 개별 게시판에서 작성해 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게시판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607 분실물찾기 USB를 찾습니다 [7] file 생생한 밑드리메뚜기 17.12.15 265
1606 청심대 일상 곱창 부야스!!! [2] 매맹 17.12.15 94
1605 청심대 일상 카레대장 -예디대앞 [3] 융니 17.12.14 130
1604 청심대 일상 상성식당 - 백종원가게 [1] 융니 17.12.14 190
1603 청심대 일상 미샤텐션팩트모이스쳐 [1] 오이비누 17.12.14 40
1602 청심대 일상 미샤텐션팩트모이스쳐 [1] 오이비누 17.12.14 35
1601 청심대 일상 아리따움 포어마스터 세범 컨트롤 파우더 [1] 퓨용 17.12.14 110
1600 분실물찾기 중앙도서관 2층 여자화장실 시계 분실 (12월 12일 ) [2] file 묭묭 17.12.12 256
1599 청심대 일상 에스티로더 더블웨어 파데 쓸 때 트러블 조심! [2] 매맹 17.12.12 819
1598 KU 미디어 [문화상]사진부문 당선작-<물고기를 통한 죽음에 관한 고찰> [43] 건대신문 17.12.09 16790
1597 KU 미디어 [문화상]소설부문 당선작-<영원의 순간> [35] 건대신문 17.12.09 3550
1596 KU 미디어 [문화상]시부문 당선작-<가랑눈> [27] 건대신문 17.12.09 3112
1595 KU 미디어 [사설]지진, 이제 남의 일이 아니다 [24] 건대신문 17.12.09 2638
1594 KU 미디어 [사설]관행보다 원칙이 앞서야 [24] 건대신문 17.12.09 2850
1593 KU 미디어 [칼럼]무심코 던진 말 [25] 건대신문 17.12.09 2594
1592 KU 미디어 [칼럼]갈등 관리하기 [25] 건대신문 17.12.09 3631
1591 KU 미디어 [칼럼]당신이 내가 될 때 [17] 건대신문 17.12.09 2936
1590 KU 미디어 [칼럼]때론 협상 대신 외고집 부리는 총학생회 되기를 [18] 건대신문 17.12.09 2659
1589 KU 미디어 [문화]언어가 담지 못한 마음을 전하는 ‘비언어 커뮤니케이션’ [11] 건대신문 17.12.09 3645
1588 KU 미디어 [시사]키워드로 돌아보는 2017년 [13] 건대신문 17.12.09 4497
목록
Board Pagination ‹ Prev 1 ...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 129 Next ›
/ 129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