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2613 추천 수 0 댓글 11

 10월 31일 한중 양국 외교부는 “한중 관계 개선 양국 간 협의결과”를 동시에 발표했다. 1992년 8월 24일 한중수교 이래 최대 악재였던 ‘사드(THAAD)’ 배치로 야기된 갈등이 일단 봉합되었다. 수교 이래 한중관계는 경제 부문이 관계 발전을 주도하였고, 북핵 문제로 인한 정치, 군사적 협력은 낮은 수준으로 발전해 왔다. 중국은 한국의 사드 배치가 자국의 전략적 이익을 침해한다고 주장하면서 비공식 적이고 은밀한 경제 보복을 실시했다. 결국 북핵으로 야기된 군사적 갈등이 한중관계 전체에 영향을 주는 상황이 전개되었다. 중국은 미국의 ‘아시아 회귀’ 정책이 중국 포위 전략의 일환으로 사드 배치가 진행되고 있다고 결론 내렸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중국은 사드가 중국을 겨냥한 것이 아니며 북핵을 방어하기 위한 자위용이라는 한국 정부의 주장에 귀 기울이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한국은 상당한 경제적 손실을 입었다. 산업은행의 분석에 따르면 사드보복 피해액은 연간 최소 8조 5천억 원에서 22조원에 달한다. 대중 무역흑자는 2013년 628억 달러에서 지난해에는 375억 달러로 40%라 급감했다. 2016년 우리의 대중국 수출 의존도가 25.1%로 매우 높았던 점을 고려한다면 경제계는 작년 한해 큰 어려움을 겼었음은 불문가지다. 자동차 부품은 전년 동기보다 대중국 수출량이 54.7% 감소하였고, 휴대전화(부품) 32.7%, 디스플레이는 24.7%나 줄었다. 이러한 피해는 관광 업계도 마찬가지다. 금년 1-9월 한국을 방문한 중국인 관광객은 319만 명으로 지난해에 비해 39% 감소하였다. 특히 단체 관광객은 61%감소했다.

 

 금번 한중 양국 간 합의를 통해 경색된 한중 관계는 개선되는 추세를 보일 것이다. 이번 경험을 통해 새로운 한중 관계 발전을 위해 다음과 같이 제안을 한다. 첫째, 한중 관계를 관리할 수 있는 통합적인 전문 기구의 설립이 필요하다. 왜냐하면 수교 25년 동안 한중 양국 간의 외교적 ‘지진’이 발생할 때마다 이를 해결할 다양한 ‘내진’ 설계가 필요함을 절감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한중관계를 전담하는 통합 기구를 설립하여 다양한 갈등을 종합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컨트롤 타워가 절실하다. 더 나아가 외교부에 중국을 전담하는 ‘중국국(中國局)’을 설치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일 것이다.

 

 둘째, 양국 간 외교적 문제가 발생했을 때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다양한 인맥을 육성해야 한다. 사실 이러한 주장은 이미 여러 차례 제기되어 왔지만 쉽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이번 사드 갈등에서도 알 수 있듯이 일부 정치인들은 자신의 중국 인맥을 통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식의 ‘자기 과시형’ 접근을 했다. 이는 외교관들의 협상을 더욱 어렵게 만들 뿐이다. 이제는 중국 전문가들에 대한 육성과 인맥 관리도 보다 체계적으로 진행될 필요가 있다.

 셋째, 우리의 대중국 공공외교 역량을 더욱 키워야한다. 이를 위해 국민 간 다양한 채널과 네트워크를 유지해야 한다. 사회주의 국가인 중국은 협상력에서 우리 정부보다 효과적일 수 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한 우리 정부의 노력은 공공외교의 강화이다. 그런 차원에서 본교에 재학 중인 2천 여 명의 중국 유학생들은 한중관계 발전을 위한 소중한 자원이다. 중국 유학생들과 인적 교류를 확대하고, 그들의 어려움을 배려해 한국을 이해하는 친한파로 육성하는 것도 중요한 공공외교이다.

 

건대신문사  kkpress@hanmail.net

<저작권자 © 건대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커뮤니티
커뮤니티메뉴에 있는 게시판들의 모든 글이 자동으로 등록됩니다.
본 페이지에서는 글 작성이 불가능하니 개별 게시판에서 작성해 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게시판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1918 KU 미디어 [보도]우리대학 A교수, 제자 성추행 혐의로 불구속 기소 [3] 건대신문 18.10.07 2018
11917 KU 미디어 [보도]몰카와의 전쟁이 시작된다 [2] 건대신문 18.10.07 1602
11916 KU 미디어 [보도]학내 유일 자치언론 교지, 이대로 괜찮은가? [4] 건대신문 18.10.07 1505
11915 KU 미디어 [보도]가을에는 단과대로 뭉친다 [3] 건대신문 18.10.07 1375
11914 KU 미디어 [보도]학생들 지갑은 더욱 가벼워졌다 [8] 건대신문 18.10.07 1676
11913 KU 미디어 [보도]도서관 문화행사, 소통의 장이 되다 [4] 건대신문 18.10.07 1298
11912 KU 미디어 [보도]2018 하반기 전체동아리대표자회의 [3] 건대신문 18.10.07 1246
11911 KU 미디어 [만평]언제까지? [4] 건대신문 18.09.23 1813
11910 KU 미디어 [칼럼]나의 진로 설계와 SW [8] 건대신문 18.09.23 1755
11909 KU 미디어 [칼럼]비핵화, 저 멀리 험한 령을 넘어 [4] 건대신문 18.09.23 1709
11908 KU 미디어 [칼럼]노약자석보다 교통약자석이 필요한 시대 [2] 건대신문 18.09.23 3091
11907 KU 미디어 [칼럼]흙더미에 파묻힌 평화 올림픽 [6] 건대신문 18.09.23 1352
11906 KU 미디어 [칼럼]우리는 인권이라는 단어를 알고 쓰는 걸까 [3] 건대신문 18.09.23 1634
11905 KU 미디어 [사설]다시 원점으로 돌아온 대입제도 개편 [2] 건대신문 18.09.23 1398
11904 KU 미디어 [사설]‘청년창업’에 어울릴 만한 환경 조성 필요 [2] 건대신문 18.09.23 1302
11903 KU 미디어 [문화]Color is my day-long division, joy and torment – Claude Monet [1] 건대신문 18.09.23 1426
11902 KU 미디어 [시사]“그들도 우리와 같은 사람입니다” [1] 건대신문 18.09.23 1354
11901 KU 미디어 [시사]‘낙태죄 폐지’ 중요한 기로에 서다 [3] 건대신문 18.09.23 2613
11900 KU 미디어 [시사]새 강사법 국회 통과되면, 강사도 교원과 동등한 지위 얻게 된다 [1] 건대신문 18.09.23 1635
11899 KU 미디어 [보도]건국인의 옷장을 엿보다 - 패션 웹진 클로젯 인터뷰 [2] 건대신문 18.09.23 1536
목록
Board Pagination ‹ Prev 1 ...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 620 Next ›
/ 620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