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3464 추천 수 1 댓글 24
9312_11859_278.jpg
사진 출처: Depositphotos 스톡

98년생들이 스무 살이 된 지 어느 덧 약 8개월이 지났다. 그 여덟 달 동안 어른은 선택을 해야만 하는 존재라는 사실을 깨닫는다. 선택이라는 무한한 자유와 결과라는 무궁무진한 경우의 수에서 스무 살들은 압박감을 느낀다. “이런 상황에서는 무슨 짓을 해야 하는 거지?” 이걸 모르겠다는 거다. 그렇지만 알아야 한다. 우리는 성인이니까. 그래서 들어보았다. 스무 살 또래들에게, 스물을 앞두고 있거나 스물을 거쳐 간 사람들에게 스무 살은 어떤 존재냐고. 다른 사람들의 스무 살을 이해하다 보면 우리 앞에 놓인 여러 가지 선택지들도 조금이나마 명확해 보이지 않을까? 아니면 말고.

 

<스물에 관하여-②남이 보는 스무 살>

‘남이 보는 스무 살’에서 ‘남’이란 현 시점에서 스무 살이 아닌 사람들을 일컫는다. 이러한 ‘남’들 중 우리는 10대인 고등학생, 30대인 초등학교 선생님, 70대인 할머니를 만나본다. 현재의 스무 살은 수많은 미래의 스무 살과 과거의 스무 살의 경계에서 살아가고 있다. 이때, 미래의 스무 살의 이야기를 듣다 보면 나의 과거를 되돌아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과거의 스무 살의 추억과 조언을 경청하다 보면 나의 미래 또한 상상해 볼 수 있을지도 모른다.

 

“스무 살은 꿈이다.” - 스물을 앞둔 고등학생 유희수(19)씨

“제가 아직 고등학생이라 그런지 스무 살 하면 대학 밖에 생각이 안나요. ”

고등학교 3학년인 유희수(19)씨는 갑갑한 수험생활을 약 100여일 남겨두고 있다. 대학 입시를 준비하는 유씨에게 스무 살이란 ‘대학교 새내기’다. 그에겐 스무 살이 되면 지금과는 다른 미래가 펼쳐질 것이라는 막연한 기대감 같은 것이 있다. 스무 살은 청소년이었던 사람이 성인이 되는 나이기 때문이다. 유씨는 내년이면 누릴 수 있는 본인의 행복한 대학생활 모습을 상상하며 수험생활을 버티곤 한다. 학교에서 수업시간에 선생님들이 종종 본인들의 대학교 시절 이야기를 해주시는데 그 이야기가 그렇게 행복하게 들린단다.

“스무 살은 꿈이죠. 빨리 되고 싶어요.”

대학 입시가 끝나고 스무 살이 되면 여느 아이들처럼 아르바이트를 하고, 술도 마시고 , 좋아하는 아이돌 가수의 콘서트, 팬미팅을 가고, 앨범 10장도 사고, 외모도 예쁘게 가꾸고 싶단다. 무엇보다 “제약 없는 시간을 자유롭게 쓸 수 있다는 것”이 가장 기대가 되는 그다.

 

“스무 살은 남들이 하라는 대로 할 필요 없다는 것.” - 스물에 건축학도였던 초등학교 교사 김혜진(39)씨

초등학교 교사 김혜진(39)씨는 9월이 되면 두 아이의 어머니가 된다. 그럼에도 그는 ‘엄마 말 듣지 마요.’라고 이야기한다. 인생엔 정해진 공식이 없기에 사람들이 하라는 대로 따를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물론 부모님이나 다른 사람들의 말이 깔때기처럼 딱 맞을 수도 있어요. 그리고 내가 하고 싶은 대로 하다보면 멀리 멀리 돌아갈 수도 있겠죠. 그런데 원하는 걸 한 번도 안 해보고 길고 긴 인생을 어떻게 살아요. 스무 살, 책임 져야 할 것이 최대한 적을 때 삽질을 하더라도 하고 싶은 것이 있다면 꼭 해보세요.”

김씨는 스무 살에 교사가 되라는 부모님의 뜻을 어기고 건축학과에 진학했다. 이십대 대부분을 건축 설계 일에 매진했다. 규모가 큰 공모전에서 수상을 하기도 하며 즐겁고 보람찬 생활을 했다. 하지만 높은 업무 강도에 일상 속 여유를 잃어버린 그는 진로를 틀었다. 본래 교육에 뜻이 없지 않았기에 남들 보다는 늦은 나이에 교대에 진학하여 교사가 됐다.

“나는 어쩌면 멀리 돌아오면서 시간 낭비를 했다고 할 수도 있겠지만 후회는 없어요. 내가 만약 처음부터 교대에 진학해서 한 길로 쭉 걸어왔다면 나는 지금과는 아주 다른 사람이었을 겁니다.”

 

스무 살 내 세상은 일거리로 가득 차 있었지.” - 고된 스물을 보낸 할머니 정순득(77)씨

“지금이 좋아. 별로 돌아가고 싶지 않아.”

정씨가 9살이던 시절, 6·25 전쟁이 발발 했다. 끊임없이 일을 해야 만 겨우 먹고 살 수 있었다. 그의 스무 살에 대한 기억은 포항에서 김도 따고, 보리밭도 메고, 조밭도 메고, 하루 종일 일만 하며 제대로 먹지도 배우지도 못한 상처뿐이다. 학교를 가지 못하니 교회에서 가르치는 수업을 들으러 가기도 했지만, 그것도 몇 개월 밖에 되지 않았다. 그렇기에 스무 살, 젊은 나이로 돌아가고 싶지가 않다.

정씨의 시선에서 요새 스무 살들은 굉장히 호강하는 것 같다. 그는 젊은 시절 비좁은 집에서 9명이 함께 비좁게 살았고 마구간에서도 살기도 했다. 또한 농사일을 하면서 벼를 이고 약 십리를 계속 걸어 다녔다. 젊어서 한 고생 때문에 지금도 허리 통증을 비롯한 후유증을 달고 산다.

“우리 때는 어딜 놀러 다닌다는 것은 상상도 하지 못했어. 계속 일을 해야만 살 수 있으니까. 그에 비하면 너희는 고생도 안하고 호강이지. 그렇게 고생을 별로 안했으니까.”

 

사람들은 모두 다른 꿈을 꾸며 서로 다른 삶을 살아왔다. 그렇기에 그들이 생각하는 ‘스무 살’의 모습은 다양하다. 이러한 이유에서 우리는 타인의 스무 살에 대해 함부로 말 할 수 없는 것이다. 우리의 ‘스물’도 그렇다.

 

이다경 수습기자 lid0411@konkuk.ac.kr

김남윤 수습기자 kny6276@konkuk.ac.kr





커뮤니티
커뮤니티메뉴에 있는 게시판들의 모든 글이 자동으로 등록됩니다.
본 페이지에서는 글 작성이 불가능하니 개별 게시판에서 작성해 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게시판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2178 KU 미디어 [칼럼]4차 산업혁명과 멋진 신세계 [4] 건대신문 19.04.14 1493
12177 KU 미디어 [칼럼]사라져가는 빛 -인문학은 여전히 우리에게 중요하다 [3] 건대신문 19.04.14 1188
12176 KU 미디어 [칼럼]뜨거워진 한국 축구 [3] 건대신문 19.04.14 1180
12175 KU 미디어 [문화]숨겨진 명작을 만날 수 있는 극장, KU시네마테크 [4] 건대신문 19.04.14 1754
12174 KU 미디어 [시사]1인 미디어에서 ‘가짜뉴스 방지법’에 이르기까지… 유튜브와 확증편향 [4] 건대신문 19.04.14 1752
12173 리뷰게시판 해봉부동산학관 [3] 동희에요 19.04.10 200
12172 리뷰게시판 도제김밥 [3] file 침착한 고함원숭이 19.04.10 247
12171 리뷰게시판 폴킴 이런엔딩 굽굽 19.04.10 224
12170 KU 미디어 [포토뉴스]새봄 캠퍼스 봄나들이 [2] 건대신문 19.04.07 1291
12169 KU 미디어 [보도]제9대 기숙사 자치위원회 KU:L Peace 당선, 투표율 52.76% [4] 건대신문 19.04.07 1209
12168 KU 미디어 [보도]새내기 새로 배움터, 이대로 괜찮은가 [5] 건대신문 19.04.07 1425
12167 KU 미디어 [보도]홈 개막전에서 단국대 꺾고 2연승 질주 [2] 건대신문 19.04.07 1251
12166 KU 미디어 [보도]제8기 Dr. 정 해외 탐방 프로그램 모집 진행돼 건대신문 19.04.07 1080
12165 KU 미디어 [보도]우리 대학 LINC+사업 우수평가, 2단계 진입 [3] 건대신문 19.04.07 1029
12164 KU 미디어 [보도]해외 대학과의 교환학생 프로그램 정보 어디서 찾아야 할까? [3] 건대신문 19.04.07 1269
12163 KU 미디어 [보도]총학생회 청심의 3개월을 되짚어본다 건대신문 19.04.07 1155
12162 KU 미디어 [보도]사회봉사 올해부터 비연계기관 활동으로만 진행 [1] 건대신문 19.04.07 1073
12161 KU 미디어 [보도]2019 상반기 전학대회 열려 건대신문 19.04.07 1194
12160 KU 미디어 [보도]e-Campus 잦은 시스템 오류, 서버관리 개선 요구돼 [1] 건대신문 19.04.07 1991
12159 KU 미디어 [보도]일부 학과, 선거 회칙 간 충돌로 재선거 건대신문 19.04.07 831
목록
Board Pagination ‹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 620 Next ›
/ 620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