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4391 추천 수 1 댓글 24
9311_11858_825.png
사진 출처: 삼성SDS

98년생들이 스무 살이 된 지 어느 덧 약 8개월이 지났다. 그 여덟 달 동안 어른은 선택을 해야만 하는 존재라는 사실을 깨닫는다. 선택이라는 무한한 자유와 결과라는 무궁무진한 경우의 수에서 스무 살들은 압박감을 느낀다. “이런 상황에서는 무슨 짓을 해야 하는 거지?” 이걸 모르겠다는 거다. 그렇지만 알아야 한다. 우리는 성인이니까. 그래서 들어보았다. 스무 살 또래들에게, 스물을 앞두고 있거나 스물을 거쳐 간 사람들에게 스무 살은 어떤 존재냐고. 다른 사람들의 스무 살을 이해하다 보면 우리 앞에 놓인 여러 가지 선택지들도 조금이나마 명확해 보이지 않을까? 아니면 말고.

 

<스물에 관하여- ①스무 살이 보는 스무 살>

스무 살 하면 무엇이 떠오르는가. 대부분 MT와 술로 가득 찬 대학생의 모습을 떠올린다. 혹은 고등학교에서 해방되어 자유롭게 캠퍼스를 누비는 풋풋한 대학생을 생각할 수도 있다. 하지만 여기, 대학을 다니며 대학교에 대한 환상이 깨진 사람도 있고, 더 좋은 대학을 가기 위해 공부를 1년 더 하는 사람도 있다. 또, 이른 나이에 사회에 뛰어 들어 사회생활을 하는 사람도 있다. 우리대학에 재학 중인 정세현(소프트·소프트1) 씨, 서울에서 재수생활을 하고 있는 재수생 김일구 씨. 9급 공무원 안세인 씨가 그들이다. 같은 스무 살 이지만 서로 다른 생각을 가지고, 다른 생활을 하는 세 사람을 만나 보자.

 

“스무 살은 날개달린 구데기(?)다.” – 재수생 김일구(20)씨

푹푹 찌는 더위에 끊임없이 오는 장마가 더해져 불쾌지수가 오를 수 있는 대까지 오른 7월 말, 누구보다도 간절하게 이 기간이 빨리 지나가기를 원하는 이가 있다. 김일구(20)씨는 한 달 동안 춘천에서 재수생활을 하다가 서울에 있는 강북청솔학원에 다닌 지 4개월 정도 됐다.

“여기(재수학원) 오고 나서 너무 끔찍하다고 느꼈어요. 진짜 그만두고 나가고 싶다고 했는데... 막상하다 보니 학교랑 똑같더라고요. 수업 듣는 거나, 애들이랑 쉬는 시간에 노는 거나 똑같아요. 근데 조금 더 답답한 느낌. 체육시간이 없으니까요.”

김 씨는 요즘 고3 시절 보다 더 이른 시간인 6시 반에 기상한다. 7시 반까지 학원에 가서 7교시에 달하는 수업을 듣는다. 그 후 4시간 자습을 한 뒤, 집에 가서도 공부를 한뒤에야 하루가 끝난다. 6개월 동안 이러한 생활하다 보니 이제는 익숙해졌다. 물론 힘들긴 하지만 노력한 대가로 이번 6월 모의고사 점수가 잘 나와 뿌듯하다.

김 씨는 대학의 로망 따위는 잊은 지 오래다. 어차피 대학교나 고등학교나 똑같이 공부를 해야 하는 건 매한가지니까. 대학에 가서 자신이 좋아하는 과목인 생명과학을 제대로 공부해보고 싶은 마음이 크다. 답답한 수험 생활을 올해도 이어가고 있지만, 더 나은 미래를 위해 그 생활을 묵묵히 참아낸다.

“이미 내 스무 살은 없어요. 대학에 가기 위한 하나의 도구일 뿐이예요. 스무 살이 매력적이라구요? 전 다 필요 없어요. 그저 좋은 대학만 가면 되는 거예요!”

김씨의 스무 살은 ‘날개달린 구데기(?)’다. 다른 친구들은 이미 대학생이 됐는데 본인만 수험 생활에 갇혀있는 것이 한스럽다. 그럼에도 그에게는 더 좋은 곳을 갈 수 있다는 희망이 있다. 그렇기에 그는 ‘날개달린’ 구데기고, 훨훨 날아갈 날만을 고대하는 중이다.

 

 

“스무 살은 상상과 다르다” – 대학생 정세현(20)씨

전국에 내려진 폭염주의보로 국민 안전처가 매우 바쁘게 일을 처리하고 있는 7월 중순, 여유롭게 자기만의 시간을 갖고 있는 이가 있다. 휴가철이 오기 전 친구들과 떠날 여행계획을 짜는 정세현(20)씨. 그는 종강하고 나서 이 곳 저 곳 친구들과 놀러다니거나 집 안에서 게임하느라 나름 바쁜 나날을 보내고 있다.

“스무 살이 되고 지난 7개월은 저한테는 휴가와 마찬가지였어요. 종일 공부할 필요없이 정해진 몇 개의 수업만 들으면 되고, 자유시간이 많아졌으니까요. 제 인생에서 가장 마음 편히 놀았던 시기예요. 하지만 제가 마냥 즐겁고 여유로운 마음이었던 건 아니예요.”

지난 한 학기 동안 그는 대학의 음주 문화와 인간관계에 대해 커다란 회의감을 느꼈다. 고등학교 때부터 대학에 가면 많은 사람을 사귀자 마음먹었던 그다. 그러나 대학교에 들어오고 나서 그의 다짐과 환상은 깨져버렸다. 술을 마시고 정신없이 게임을 하며 사람들의 얼굴과 이름을 익히는 방식이 사람과 친해지는데 그리 좋은 방법이라 여겨지지 않았다.

“그리고 고등학교 때까지만 해도 대학에 가면 그곳에서만 배울 수 있는 무언가를 얻을 수 있으리라 생각했어요. 그러나 물리 수업을 들을 때 실험할 환경이 마땅치 않아 이론수업만 진행하기 일쑤더군요. 또 지난 학기에 배운 교양이 대부분 고등학교 때 배운 것에 불과했어요.

그가 원했던 대학만의 특별한 무언가는 그 곳에 존재하지 않았다. 그러기에 정씨의 스무 살은 ‘상상’과는 다르다. 사람들과 친해지는 방식에서 환멸을 느꼈고, 대학만의 특별한 무언가는 없었다. 좋은 휴가였지만 자신이 꿈꾸었던 대학생활과 많이 차이가 있어 실망이 크다. 시간이 흘러 이상과 현실의 차이에 익숙해질 날이 오길 기다릴 뿐이다.

 

 

스무 살은 또 다른 꿈을 찾는 시기다.” - 공무원 안세인(20)씨

선풍기, 에어컨과 하루 종일 같이 붙어 다녀야 될 정도로 더운 7월 어느 날, 에어컨 바람을 너무 많이 쐐서 지친이가 있다. 힘들었던 하루일과를 끝내고 집안 청소를 하며 자신만의 시간을 보내고 있던 안세인(20)씨. 그는 지난 해 9급 공무원 시험에 합격을 한 후 면허증를 따고, 여행도 다니고, 알바를 하기도 했다. 이번 6월부터 연수를 받고 본격적으로 일을 한 지는 4주 정도 됐다.

“일한지 얼마 안돼서 해볼 만해요. 아침에 일어나서 출근하고 5시 반에 퇴근해 집에 오는 생활을 계속 반복하는 중이예요. 4주 정도 이러한 생활하다 보니 익숙해졌어요. 물론 재미는 없지만 직장 분위기가 좋고 사적인 일을 많이 배려 해주는 편이라 만족해요.”

하지만 처음엔 첫 직장에 적응하기가 어려웠던 그다. 똑같은 9급으로 왔지만 20대 후반사람들과 고등학교 졸업하고 온 자신까지 나이와 학벌이 다양했다. 대학을 졸업하고 온 동료들과 단어 선택에서부터 차이가 많이 난다고 느끼는 등 자격지심이 있었던 것도 사실이다.

“제가 지금 너무 나이에 맞지 않게 너무 재미없게 사는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어요. 직장을 다니다보면 수입이 생기니까 할 수 있는 것은 많은데 정작 할 시간이 없거든요.”

자신의 꿈이었던 공무원이 됐지만, 이 직업이 정말 자신이 원하던 것이었는지 하는 회의가 든다. 업무에 적응하느라 다른 꿈을 꿀 틈조차 없기도 하다. 그럼에도 새로운 꿈을 가져보려 한다. 그러기에 안씨의 스무 살은 ‘꿈을 찾는 시기’다.

“지금은 세계 여행하는 것이 상상 속의 꿈이에요. 지금은 그 꿈을 이룰 시간이 없기에 나중에 직업적으로 안정이 되면 꼭 이루고 싶어요. 혹시 살다 보면 또 다른 꿈이 생기지 않을까요?”

 

사람들은 사회에 나가 다양한 선택지 앞에서 결정을 하고 그것을 밀고 나가야만 한다. 스물은 그 선택을 하고 책임을 져야하는 첫 번째 시기인 것이다. 실패할 수도 있고 방황할 수도 있다. 그럼에도 다채로운 스무 살이기에 각자의 삶 속에서 마음껏 도전을 해도 이상하지 않을 것이다.

 

김남윤 수습기자 kny6276@konkuk.ac.kr

이다경 수습기자 lid0411@konkuk.ac.kr





커뮤니티
커뮤니티메뉴에 있는 게시판들의 모든 글이 자동으로 등록됩니다.
본 페이지에서는 글 작성이 불가능하니 개별 게시판에서 작성해 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게시판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2247 KU 미디어 [Campus Life] Colorful and Artistic Features to Enjoy [34] file 영자신문 18.01.24 5902
12246 KU 미디어 KU 신비한 동물사전 [28] file 건대신문 17.09.07 5893
12245 동아리 모집 열정과 패기가 넘치는 건국대 유일의 응원단 'OX-K'! [5] 김종현 13.01.28 5858
12244 자유홍보 *[하버드국제학생회의 지부] 미디어 컨퍼런스 개최(~1/16) SM-PAIR 15.01.07 5805
12243 KU 미디어 [사회] “도(道)를 아십니까?” 그래서 직접 한 번 알아 봤다. [22] 건대신문 16.09.25 5705
12242 KU 미디어 우리대학, 대단과제 체제로 학사 구조개편 결정 -내년부터 단과대학 2개와 ... [15] file 건대신문 17.05.21 5637
12241 동아리 모집 건국대 중앙 및 단과대 동아리 홍보만 가능합니다. [119] 운영대표 13.02.01 5544
12240 KU 미디어 [건대방송국ABS] 건국대학교 학원방송국 ABS 수습국원모집영상 file ABS 18.02.26 5492
12239 KU 미디어 우리는 왜 대학에 왔는가-화석편(2/4) [27] 건대신문 17.04.13 5473
12238 자유홍보 삼성SDS 대학생 기자단 5기를 모집합니다! 삼송 15.01.23 5426
12237 KU 미디어 [Bulletin Comment] Angry with Continual Sexual Harassments in KU? [37] file 영자신문 17.08.08 5351
12236 KU 미디어 [학교생활TIP]건대신문에서 알려주는 새내기를 위한 꿀팁 건대신문 19.02.09 5337
12235 대외활동 [SNS] 지루하고 따분한 봉사는 가라 ~~!!! 재미지고 신나고 즐거운 대학연합... [2] 지레이나르 13.03.04 5299
12234 자유홍보 2013년 취업준비전략 공개설명회 [1] 초코회오리 13.01.26 5274
12233 KU 미디어 [칼럼]일상화된 여성혐오 발언, 페미니즘 정규교육 과정 필요해 [32] 건대신문 17.09.30 5241
12232 KU 미디어 [새내기]10가지만은 할 수 있게 해달라고, 신께 빌어볼게” [6] 건대신문 18.02.08 5217
12231 KU 미디어 [보도] 상경대 성추행 사건으로 새터 전면취소... 학생회 “대학본부에서 일... [12] file 건대신문 17.02.26 5121
12230 KU 미디어 [Cover Story] Are You "Dead"? [46] file 영자신문 17.02.14 5048
12229 KU 미디어 [Global Life] Imagining Your Global Dream House [32] file 영자신문 17.04.26 5046
12228 KU 미디어 [보도]2020 학사구조조정, 어떤 변화 있나? [3] 건대신문 19.05.19 5029
목록
Board Pagination ‹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 621 Next ›
/ 621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