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U 미디어

교내 건대신문,학원방송국,영자신문에서 발행하는 다양한 콘텐츠를 열람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본 게시판에 올라오는 모든 게시글에 대해 무단 복제 및 전제를 금합니다.

9122_11744_177.png

 

편집실을 떠난다. 시원섭섭할 줄 알았더니 그냥 시원하기만 하다.

 

학보사 기자’라는 이름을 달고 쓸 수 있는 마지막 글이라고 생각하니 너무나 하고 싶은 이야기가 많아 고민된다. 고민 끝에 오랜 푸념이나 늘어놓기로 정했다.

 

학보사의 시스템 전반이 좀 이해되기 시작할 무렵, 그간 숨어있던 이상과 현실의 괴리감이 어느 순간 대뜸 다가왔다. 기자생활을 해오며 머리 한 구석에 붙어있던 알 수 없는 이질감이 고무줄 끊기듯 탁하고 사라졌다. 일에 대한 흥미와 함께. 기자의 세계에 대한 로망이나 근성 따위야 애초에 없었다고 하더라도, 적어도 저널리즘에 대한 신념은 확고하게 갖고 있다고 자부하던 차였다.

 

서류상에서 ‘학보’라는 이름은 ‘관보’ 내지 ‘사보’라는 이름과 더 가까웠다. 학보사는 학교의 부속기관이다. 운영비 모두 교비에서 지급되며, 모든 기사는 이른 바 ‘주간교수’라고 불리는 교원의 데스킹을 통해 최종승인이 떨어진다. 본부의 장기적인 운영계획에 따라 학보사는 얼마든지 폐간될 수 있다. 시스템상의 학보는 ‘자율성’의 그 어떤 구성요건도 만족하지 못하고 있다.

 

물론 <건대신문> 기자생활을 하는 동안 편집권을 두고 본부나 주간교수와 갈등을 빚은 경험은 없다. 내 근성이 물렁한 탓도 있지만, 주간교수를 잘 만난 덕도 있다. 농담이 아니다. <건대신문>은 당장 지난 2011년에도 편집권을 둘러싼 갈등 끝에 파업까지 감행한 적도 있었다. 당시 주간교수의 도를 넘은 간섭 때문이었다.

 

요컨대 학생기자들의 편집권은 오롯이 당시의 주간교수가 얼마나 자비를 베푸느냐와 편집국장이 얼마나 입담이 강하냐에 달려있는 게 현실이다. 개인의 의지, 성향에 기대야 보장받는 권리는 노예의 그것과 다를 바 없다. 설령 주간교수가 단 한 번도 편집실이나 조판실에 나타나지 않는다 하더라도, 주간교수가 존재하는 한 그 학보사에겐 ‘언론’으로서의 어떤 권한도 없다.

 

좋은 점도 있다. 이른바 ‘업계’에서는 벌써 십 수 년째 위기라며 가능한 모든 방법을 동원해 발버둥치고 있지만, 적어도 학보에게 이러한 맥락의 ‘위기’란 없다. 영리적 목적을 추구하는 기업체도 아닐뿐더러, 배포처도 나쁘게 말하면 제한적이지만, 좋게 말하면 매체의 객관적인 경쟁력에 비해 매우 보호받고 있는 상황이다. <건대신문>도 마찬가지다. 독자의 수가 떨어져 간다고 많이들 고민하지만, 사실 제대로 된 구독률 추이를 조사하고 있는 학보가 있는지조차 의심스럽다.

 

굳이 학보사의 위기라고 한다면, 차라리 그 매체를 생산하고 있는 기자들의 허탈함과 자괴감이 커져가고 있다는 것, 그로 인해 기자들이 이탈하게 되고, 지독한 인력난에 시달리게 된다는 것, 그리고 또 그로 인해 더욱 허탈해지고 있는 것뿐이다. 마치 별 거 아니라는 투로 이야기 했지만, 사실 학보사 기자에겐 이게 전부다. 보람이 없으면 편집국은 돌아가지 않는다.

많은 사람들이 ‘대학은 작은 사회(국가)와 같다’는 주장에 별 고민 없이 동의한다. 따라서 학보의 역할 또한 사회에서의 언론의 역할과 같다고, 그들은 쉽게 이야기한다. 대학은 사회와 전혀 다르다. 대학은 차라리 거대한 하나의 서비스상품에 가깝다. 그것도 몹시 불공정한 관계 위에서 거래되는.

 

이렇게 봤을 때 비로소 학생사회를 이루고 있는 여러 조직들의 목적과 필요성에 대한 이해가 더 선명해진다. 학생회가 학교와 학생 사이의 조정자가 아니라 학생(소비자) 권리를 보호하기 위한 이익집단으로서 활동해야 하는 이유, 학보가 대학이라는 하나의 상품에 대한 소비자 중심의 비평지가 되어야 하며, 그 상품을 제공하는 기업의 경영자와 소유주들에게 압력을 행사할 수 있어야 하는 이유, 그리고 그들이 구조적, 재정적 독립을 해야만 하는 이유 모두가 말이다.

 

조만간 새로운 수습기자들이 내가 떠난 빈자리를 채우게 된다. 그저 안쓰러울 따름이다. 그들은 언젠간 나와 같은 고민에 마주하게 될 것이다. 길은 두 가지다. 학교의 부속기관으로서 사보, 관보의 역할을 수행하거나 재정적으로 독립하고 그들이 배운 저널리즘을 수행하기 위해 노력하거나. 어느 쪽이건 가시밭길이다.

 

 

심재호 기자  sqwogh@konkuk.ac.kr

<저작권자 © 건대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18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Prev 1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83 Next
/ 83
/ 83